화성 등 수도권 2기 신도시 생활교통비 부담 1기보다 월등히 크다

국토연구원 빅데이터 분석…"교통비 저감책 경기 동·북권 가장 시급"
국토부 "2기 신도시 교통실태조사 착수, 2020년 상반기까지 보완책 마련"

국토연구원 보고서
국토연구원 보고서

3기 신도시 발표로 인해 교통여건이 미흡한 2기 신도시 소외 우려가 나오는 가운데 수도권 2기 신도시 주민들의 소득 대비 교통비 부담이 1기 신도시보다 뚜렷하게 크다는 분석이 눈길을 끈다. 경기도에서 생활교통비를 줄이는 정책이 가장 필요한 곳으로는 광주·남양주 등 경기동부지역이 꼽혔다.

13일 국토연구원의 ‘지역별 생활교통비용 추정 및 격차 해소 방안’ 연구보고서에 따르면 경기도 560개 읍면동 소재 가구의 월평균 생활교통비용(유류비·대중교통 요금·시간 가치 등 직간접 비용의 총합)은 33만원으로, 월 소득에서 약 9%를 차지했다.

읍면동 소득대비 생활교통비 비율은 가평군이 20%로 가장 높았고 연천군(19%), 포천시(18%), 여주시(16%), 이천시(13%), 용인시 처인구(13%), 안성시(13%), 파주시(12%), 광주시(12%), 화성시(11%), 남양주시(10%), 평택시(10%) 등이 10% 이상이었다.

이와 비교해 성남시 분당구(4.6%), 군포시(4.9%), 안양시 동안구(4.9%), 용인 수지구(5.2%), 수원시 권선구·고양시 일산서구·일산동구(6%) 등은 상대적으로 생활교통비 부담이 작았다.

국토연구원은 이런 결과에 대해 “수도권 1기 신도시인 분당구·군포·안양 동안구·용인 수지구 등은 소득대비 생활교통비 비율이 낮은 반면 2기 신도시인 남양주·화성·광주 등 최근 신규택지가 개발된 도시들은 10% 이상으로 높게 나타났다”고 설명했다.

절대액 기준으로는 경기도 6개 권역 가운데 수도권 동부(경기 동부 시군구, 광주·남양주·양평군·포천시 등)의 생활교통비가 월 50만원으로 가장 많았다.

수도권 북부(경기 북부 시군구, 가평군·동두천·양주·연천군·파주시 등)가 44만원, 수도권 남부2(경기 남부 중 인구밀도 낮고 도시철도망 부족 지역, 안성·여주·오산·이천·평택·화성 등)가 42만원으로 뒤를 이었다.

서울 인접권1(서울 북부와 행정경계 겹치는 경기 시구, 고양·김포·의정부시 등)은 30만원, 수도권 남부1(경기 남부 중 인구밀도 높고 도시철도망 발달 지역, 군포·시흥·수원·안산·용인·의왕시 등)이 30만원이었고 서울인접권2(서울 남부와 행정경계 겹치는 경기 시구, 부천·성남·안양·과천·구리·하남·광명시 등)는 수도권 동부의 절반 이하인 23만원으로 집계됐다.

국토연구원은 이런 결과를 종합해 가장 서둘러 생활교통비 저감 정책이 필요한 1순위 권역으로 광주·남양주 등 수도권 동부를 꼽았다. 이어 수도권 북부와 수도권 남부2가 2순위, 수도권 남부1이 3순위, 서울인접1과 서울인접2 권역이 4, 5순위로 진단됐다.

국토연구원은 “중소규모 택지개발 사례에서 계획단계부터 종합적 광역교통 대책을 수립할 필요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며 “(광역)교통개선대책 수립 기준 이하 지역들의 경우 일반적으로 평균보다 생활교통비용 수준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기 때문”이라고 밝혔다.

한편 국토교통부는 이달 중 대도시권광역교통위원회를 통해 2기 신도시에 대한 교통실태 조사에 착수, 2020년 상반기까지 보완대책을 마련할 방침이다.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