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자고속道 통행료 인하 등
市, 11개 현안 국토부에 요청
인천시가 역점 사업인 도시재생과 광역 교통체계 개선 등 11개 현안에 대한 협조를 국토교통부에 요청했다.
허종식 시 균형발전정무부시장은 20일 국토부를 방문해 박선호 1차관, 김정렬 2차관, 손명수 교통물류실장 등을 만나 인천 현안사업의 조기 추진을 건의했다고 밝혔다.
도시재생 사업의 일환인 ‘장기 미집행 도시공원 관련 법령 개정’과 ‘내항1·8부두 도시재생 혁신지구 시범사업’이 대표 현안이다.
장기 미집행 도시공원 부지가 2020년 7월31일이면 자동 실효되는 상황이지만, 시는 재원이 부족해 대규모 공원 조성이 불가능한 상황이다.
이에 따라 시는 국·공유지는 자동실효 대상에서 제외할 수 있도록 법령을 개정하고, 국유지는 정부가 각 지방자치단체에 무상으로 주는 방안을 검토해달라고 요구했다.
시는 지난 3월 1회 추경에서 장기 미집행 공원 조성 등에 1천48억원의 예산을 반영했지만, 총 3조원이 넘는 사업비를 감당하기에는 역부족이다.
허 부시장은 내항1·8부두 항만재개발 구역을 ‘혁신지구’ 시범사업지로 지정해달라는 의견도 전달했다.
혁신지구로 지정되면 국비와 기금(HUG)을 받을 수 있는데다, 규제도 과감히 풀 수 있어 사업에 속도를 낼 수 있다.
현재 내항 1·8 부두는 항만재개발 구역과 항만구역이 겹쳐, 원활한 사업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
이와 함께 제2공항철도 건설 등 광역 교통체계 확대와 운임·통행료 인하도 요구했다.
시는 제2공항철도 건설을 통해 인천국제공항의 접근성을 확보하고, 영종·용유지역 내 근로자들의 이직률을 해소할 필요가 있다고 설명했다.
영종 공항철도 운임체계 개선, 민자고속도로(영종대교·인천대교) 통행료 인하 등 인천 시민들이 불이익을 받는 요금 체계에 대해서도 건의했다.
이 밖에도 영종~강화 평화도로의 국가계획 반영, 인천공항형 일자리창출 항공정비산업 육성, 교통약자 특별교통수단 제도 개선 및 지원, 검단신도시 미분양관리 및 전매제한기간 완화 등도 협의했다.
허 부시장은 “민생과 직결되는 도시재생과 교통·도로 사업을 집중적으로 협의했다”며 “국토부도 시급성을 감안해 해결 방안을 적극적으로 찾겠다고 약속했다”고 전했다.
주재홍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