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뿔난’ 일산·파주 달래기… 설익은 광역교통망 확충 통할까

국토부, 수도권 서북부 광역교통대책 앞당겨 발표
2023년 개통 밝힌 GTX-A노선, 첫 삽도 못떠 무리수 논란
인천 2호선~일산 연결, 아직 타당성 조사단계 낙관은 일러

김현미 국토교통부 장관이 23일 수도권 서북부 지역 교통대책을 서둘러 발표한 것은 성난 민심 달래기에 나선 것이란 분석이 지배적이다.

김 장관은 이날 자청한 기자간담회에서 인천 지하철 2호선을 검단, 김포를 거쳐 일산까지 연결하겠다고 공개했다. 이는 인천과 김포시, 일산 주민들의 숙원사업이다. 전문가들도 수도권 서북부의 교통 문제에 대해 대책이 필요하다는 입장이다. 수도권 남부나 동부권과 비교해 교통 인프라가 부족하고 철도망 역시 분절돼 있어 주민들이 불편을 겪고 있다. 최근 3기 신도시 추가 후보지 발표 이후 일산과 파주, 김포 등 2기 신도시 주민들이 신도시 건설에 반발하는 것도 그간 교통 인프라에서 소외됐다는 박탈감에서 비롯됐다는 분석이 많다.

그러나 김 장관이 이날 공개한 교통대책이 차질없이 진행될지도 미지수다.

김 장관은 광역급행철도(GTX) A노선을 오는 2023년 말까지 개통하겠다고 밝혔지만, 지난해 말 착공식만 열렸을 뿐 아직 첫 삽도 뜨지 못했다.

당시 장관 퇴임이 예정된 상황에서 지역구 현안 챙기기 차원에서 무리하게 서둘러 착공식을 했다는 평가가 나오는 이유다.

고양 창릉신도시 교통대책으로 발표된 ‘고양선’ 신설 계획은 서부선 새절역과 고양시청을 지하철로 연결하는 것인데 서울시가 추진하는 서부선 건설계획은 아직 민자적격성 심사도 통과하지 못했다. 업계는 서부선 건설을 빨라야 2028년으로 보고 있지만 신도시 입주에 맞춰 완공될지는 불투명하다.

인천 지하철 2호선 일산 연결 등도 막대한 재원이 소요될 것으로 예상되는 만큼 노선 확정, 사업 방식과 재원조달 방식 등에 적잖은 난관이 예상된다.

인천 2호선 일산 연결 사업의 경우 아직 사전타당성 조사 단계에 머무르는 상태다.

부동산 업계에서는 대규모 신도시 건설과 광역교통 개발을 통해 풀리는 막대한 보상비가 부동산시장을 또다시 자극할 것이라는 우려도 나온다.

지존 신태수 대표는 “정부 계획대로 3기 신도시가 개발되고 SOC 사업이 추진되면 수십조 원의 보상비가 수도권에 풀릴 것으로 예상된다”며 “장기적으로 공급물량 증가로 인해 주택시장이 안정될 수 있겠지만, 동시다발적으로 보상이 진행되는 동안은 보상비가 불쏘시개 역할을 할 수도 있다”고 말했다.

정부가 사업의 속도만을 앞세워 지역 주민의견 수렴에 소극적이라는 비판도 제기되고 있다.

국토부는 최근까지 신도시를 비롯해 12개 공공택지 개발과 관련한 주민설명회를 열었지만 남양주 왕숙1·2, 하남 교산, 인천 계양테크노밸리 등 9곳에서 주민 반발로 설명회가 무산되자 이들 지역의 설명회를 아예 생략하기로 했다.

권혁준기자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