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내 청년 과반 이상 “추경안의 핵심인 청년면접수당 찬성”…기업 면접비 부작용에 대한 개선책으로 필요

▲ 경기도청 전경

이재명 경기도지사가 취업난에 시달리는 청년들을 위해 추진하는 ‘청년면접수당’에 대해 도민 절반 이상이 찬성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3명 중 1명은 기업으로부터 면접비를 한 푼도 받지 못했다고 응답, 지자체 차원의 지원 정책이 시급하다는 지적이다.

27일 경기도에 따르면 도는 오는 9월께 청년면접수당을 시행할 계획이다. 청년면접수당이란 도내 거주하는 18~34세 미취업 청년에게 30만 원(지역화폐로 1회 한정)을 지급하는 내용이다. 이번 정책은 소득이 없는 구직자가 짊어지는 취업 비용을 해결하려는 것이며, 이 지사의 공약 사항이기도 하다. 구직자는 평균 면접 준비비용으로 18만 5천 원을 지출한다. 이에 대한 기업의 평균 지급 면접비는 3만 2천 원에 불과하다.

이에 도는 청년면접수당 등이 포함된 추경안을 심의하는 경기도의회 제335회 임시회 본회의(28일)에 앞서 이달 중순 여론조사를 시행했다. 2030 도민 1천 명을 조사한 결과, 54%가 청년면접수당에 대해 찬성했다. 청년들은 비용부담 경감, 취업활동 촉진 등을 주요 찬성 이유로 꼽았다. 특히 기업이 제공하는 면접비를 받은 경험이 있다는 비율은 33%에 그쳐, 기업의 면접비 지원은 이뤄지지 않고 있음을 증명했다.

이와 관련, 지난달 국회에서는 면접비 지급 의무화 등의 내용을 담은 ‘채용 절차의 공정화에 관한 법률’ 일부 개정안이 발의된 상태다. 그러나 ▲면접비 지급에 부담을 느끼는 일부 중견ㆍ중소기업들은 면접 대상자를 대폭 축소할 수 있다는 우려 ▲면접비를 받으려는 청년들이 제도를 악용할 가능성 등이 지적되고 있다.

청년면접수당이 시행되기 위한 마지막 관문은 도의회 통과 여부다. 지난해 보건복지부와의 사회보장제도 협의를 마쳤고, 상임위인 도의회 보건복지위원회도 청년면접수당 예산 75억 원을 지난 21일 의결했기 때문이다. 청년면접수당은 이날 심의를 마친 도의회 예결위의 의견을 토대로 28일 임시회 본회의에서 최종 처리된다.

도 관계자는 “사업 추진의 적절성 등을 지적한 도의회 의견에 충분히 공감하고 있다”며 “그러나 정책이 추진되면 청년을 위한 효과적인 방안으로 정착, 이러한 우려를 잠재울 것”이라고 말했다. 여승구기자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