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지대] 교사의 손전화

강현숙 사회부 차장 mom1209@kyeonggi.com
기자페이지

▶“야! 너 어디야?” 술에 취한 한 학부모가 교사에게 밤늦게 전화를 해서 한 말이다. 여기서 끝이 아니었다. 차마 입에 담기 힘든 욕설을 퍼붓기 시작한 학부모는 다음 날, 학교로 찾아가 학생들 앞에서 교사를 향해 “야!”라고 소리를 질렀다. 경기도 일선 학교에서 있었던 실제 교권 침해 사례다. 교사들이 학부모 전화로 힘들어하고 있다. 문제는 교사를 24시간 콜센터 직원처럼 생각하고 시도 때도 없이 밤낮을 가리지 않고 전화를 한다는 것이다. 경기교육정책 정기 여론조사(2019년 4월) 결과, 학부모의 교권 침해 사례 중 우선 대처해야 할 사항으로 ①업무시간 이외에도 걸려오는 학부모들의 연락(11.3%) ②교사의 사생활에 대한 침해(9%) 등이 합계 20.3%를 차지했다. 교사의 휴대전화번호 공개에 따른 부작용에 대해 우선 대처해야 할 필요성이 대두됐다.

▶경기도교육청에 따르면 최근 일부 학교에서 교사 개인의 전화번호를 학부모에게 반드시 공개하라는 지시나 강요로 인한 어려움을 호소하는 사례가 많이 접수되고 있다. 개인정보보호법 등에 의해 교사는 개인 휴대전화번호 공개 여부를 스스로 결정할 권리가 있다. 이에 도교육청은 ‘근무시간 외 휴대전화에 의한 교육 활동침해 관련 안내’ 공문을 일선 모든 학교에 보냈다. 내용은 ‘개인 휴대전화번호 학부모 제공 제한의 법적 근거’와 ‘개인 휴대전화번호 학부모 제공 제한의 필요성’을 담아 교사의 개인 연락처 공개 제한에 힘을 실었다.

▶아침마다 문자로 교사에게 사소한 일까지 부탁하고 심지어 아이에게 간식 사먹을 돈까지 빌려주라는 학부모의 전화가 수업 중에 온다고 한다. 촌각을 다투는 내용이 아니다. 급한 경우에는 학교 대표전화로 연락하면 된다. 손전화 대신 손편지도 있다. 의미없는 손전화로 교사를 괴롭히지 말자. 늦은 밤, 누군가 술에 취해 전화해 “야! 너 어디야?”라고 하면 좋아할 사람 있을까. 교사가 학부모 전화 민원에 시달리는 동안 우리 아이들은 교사 손 ‘밖’에 방치되고 있다는 사실만 기억하자.

강현숙 사회부 차장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