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 두번째 조직개편… 공정국 등 5개국 신설

민선 7기 출범 1주년 맞아 단행
철도국은 철도항만국으로 변경
내달 도의회 심의 뒤 7월 시행

▲ 안산사이언스밸리조감도

민선 7기 경기도가 출범 1주년을 맞아 두 번째 조직개편을 단행한다. 공정국ㆍ노동국 등 5개국을 신설하고, 한시기구인 철도국을 상시기구인 철도항만국으로 변경하는 것이 핵심이다.

경기도는 이 같은 내용을 담은 ‘경기도 행정기구 및 정원조례 일부개정 조례안’을 29일 입법예고한다고 28일 밝혔다.

조직개편안을 보면 5개 신설 국은 공정국, 노동국, 미래성장정책관, 보건건강국, 도시정책관이다. 우선 공정국에는 이재명 도지사의 핵심 도정 철학을 실현하기 위한 부서가 배치된다. 공정소비과, 조세정의과, 특별사법경찰단 등이 경제민주화, 대중소기업 상생협력 추진, 조세정의 실현, 불법ㆍ불공정 단속 기능 강화 등을 맡는다.

이어 기존 경제노동실 산하 노동일자리정책관을 경제와 노동으로 분리, 전국 최초로 노동국을 단독 국으로 설치한다. 노동정책 업무를 추진하는 가운데 산하 외국인정책과가 기존 팀 단위에서 과 단위로 확대돼 외국인 증가에 따른 행정수요를 전담한다.

4차 산업혁명 전담기구로는 미래성장정책관을 경제실에 신설했다. 도는 이번 개편안을 통해 과학기술과, 산업정책과 등 여러 부서에 분산됐던 미래산업 관련 사업을 일원화ㆍ조직화했다. 아울러 청년기본소득, 정신질환자 등 늘어나는 보건복지수요와 도민들의 건강권 확보를 위해 기존 보건복지국을 복지국과 보건건강국으로 나눈다. 5대 테크노밸리 추진과 3기 신도시 조성 등에 선제 대응을 위해 도시정책관도 꾸려진다.

이와 함께 상시기구 전환 요구를 받았던 철도국은 항만물류 기능을 통합해 상시기구인 철도항만국으로 개편되며, 식품안전과 먹거리 업무의 일원화를 위해 농정해양국을 농수산식품국으로 명칭을 변경하고 기능을 강화한다. 반면 복지여성실과 혁신산업정책관은 보건건강국, 미래성장정책관이 새로 만들어지면서 폐지된다. 이밖에 주요 과 단위 개편은 인권담당관, 인구정책담당관, 예술정책과 등의 신설이다.

이번 조직개편안은 다음 달 11일부터 열리는 제336회 경기도의회 정례회에서 심의를 거쳐 7월 시행된다. 조직개편안이 의결되면 도는 현재 22 실ㆍ국 6 담당관 체제에서 25 실ㆍ국 6 담당관 체제로 전환된다. 과는 135개에서 140과로, 총 정원은 1만 3천804명에서 1만 3천853명으로 늘어난다.

임종철 도 기획조정실장은 “이번 개편안은 출범 2년차를 맞은 민선 7기 경기도정이 가시적 성과를 보여주기 위한 본격적인 준비를 마쳤다는 데 의미가 있다”며 “구체적 실천방안과 공약 성과들이 계속해서 나올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고 말했다. 여승구기자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