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잇돌대출 1조8천억원, 민간중금리대출 4조원 모두 증가
지난해 중금리대출이 6조 원에 육박하며 전년보다 2조 원 넘게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30일 금융위원회, 금융감독원에 따르면 2018년 중금리대출 총 공급액은 5조 9천935억 원으로 2017년 3조 7천378억 원 대비 약 1.6배(+2조 2천557억 원) 증가했다.
사잇돌대출은 1조 8천341억 원으로, 전년대비 1.9배 증가했으며, 민간중금리대출은 4조 1천594억 원으로 전년대비 1.5배 확대됐다. 사잇돌대출은 서울보증보험의 보증부 대출로 은행, 저축은행, 상호금융에서 진행 중이며 중금리대출 활성화의 마중물 역할을 한다. 민간중금리대출은 개별 금융회사가 취급하는 중금리대출 신용대출 중에서 금리 및 중·저신용자 비중 등 일정요건을 충족하는 비보증부 신용대출이다.
업권별로는 저축은행이 2조 9천억 원(48.3%)으로 가장 많고, 여전사 1조 9천억 원(31.9%), 은행 9천억 원(14.9%), 상호금융 3천억 원(4.9%) 순이다.
사잇돌대출은 지난해 1조 8천341억 원(전년대비 1.9배↑)이 공급됐다. 업권별로는 저축은행의 공급액이 1조 1천4억 원(약 60.0%), 은행 5천732억 원(31.3%), 상호금융 1천605억 원(8.8%) 순이다.
금리(대출액 기준 가중평균금리)는 은행이 7.33%로 전년대비 0.29%P 하락했지만, 저축은행은 17.33%(0.45%P↑), 상호금융은 8.35%(0.08%P↑)로 상승했다. 저축은행은 법정 최고금리인하 등으로 전체 가계신용대출금리가 하락(△2.15%P)했음에도 사잇돌대출 금리는 소폭(0.45%P) 상승했다.
은행은 신용등급 2~6등급(90.6%), 상호금융은 3~6등급(80.7%), 저축은행은 5~7등급(82.7%) 중심으로 대출을 실행했다.
민간 중금리대출 공급액은 4조 1천594억 원으로 2017년(2조 7천812억 원) 대비 약 1.5배 증가했다.
업권별로는 여전사 1조 9천109억 원(45.9%), 저축은행 1조 7천974억 원(43.2%), 은행 3천190억 원(7.7%), 상호금융 1천321억 원(3.2%) 순이다.
금리요건 정비 등 정책적 노력에 힘입어 민간 중금리대출의 가중평균금리도 전년 대비 하락했다. 상호금융의 가중평균금리 수준이 6.94%로 가장 낮고, 은행 9.03%, 여전사 14.17%, 저축은행 14.83% 순이다.
은행·여전사는 저신용(4등급 이하) 차주비중이 상대적으로 낮았고 상호금융은 4~6등급 집중도가 높고, 저축은행은 중신용자(4~7등급) 비중이 89.0%로 업무 권역에서 가장 높았다.
금융당국은 하반기 중 카드론 중금리대출 출시를 통해 민간 중금리대출도 보다 폭넓게 공급될 수 있도록 지원하면서 중금리대출 상품 다양화 및 금리 인하를 유도한다는 방침이다.
서울=민현배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