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방지 기자단 오찬 간담회
이재명 경기도지사가 서울시와의 관계 재정립, 현금성 복지정책의 확대를 선언했다. 이 지사는 서울시 중심의 구조에서 대립ㆍ갈등에 따른 도민 피해를 우려, 경기도 지위 상승을 통한 서울시와의 공존을 이루겠다고 밝혔다. 아울러 현금성 복지 제지 움직임에 대해 자원의 순환이 강조되는 시대에서 지역화폐를 통한 복지정책을 늘리겠다고 반박했다.
■경기도와 서울시 간 존중과 대화 강조
이 지사는 4일 도지사 공관에서 열린 기자간담회를 통해 “지금까지는 (경기도와 서울시 간 관계를 보면) 서울시가 중심이었던 것 같다. (이제는) 경기도와 서울시가 새로운 관계를 설정할 필요가 있다”며 “서울시가 일방적으로 경기도에서 (사업 및 정책을) 밀어붙일 수는 없으니 서로 존중하고 대화할 수밖에 없다. 대립ㆍ갈등보다는 공존ㆍ협조 관계로 가는 게 맞다”고 말했다.
이번 발언은 차량기지 이전, 혐오시설 갈등 등으로 서울시에 대한 도민의 불만ㆍ우려가 커진 데에 대한 이 지사의 입장이다. 최근 들어 구로기지 이전, 서울시민이 사용하는 혐오시설의 도내 입지, 박원순 서울시장의 ‘서울공항(성남 소재)의 민간 개방’ 발언 등으로 인해 경기도민과 서울시민 간 대립 구도는 커지고 있다.
이에 이 지사는 “경기도에 있는 서울시 시설물들을 조사하고 있다. 과거에 주민기피시설이 경기도에 많이 배치된 것 같기 때문”이라며 “(경기도 입장에서) 서울시로 출퇴근하는 도민을 위해 광역버스도 늘려야 하는 만큼 서로 협조하고 타협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현금성 지원 확대는 시대 흐름…지역화폐에 이은 기본소득 구상
이 지사는 복지대타협 특별위원회 추진 등 현금성 복지정책에 대한 우려를 놓고 “시대가 바뀌었기 때문에 현금성 지원은 늘려야 한다”며 “기반시설 확보 등 간접적 혜택을 늘리는 것은 포화상태다. 직접 혜택이 늘어나는 추세일 수밖에 없다”고 지적했다. 이어 “현금 복지를 늘리면서 지역화폐를 주면 경제 활성화 효과가 있다”며 “그런 측면에서 한 걸음 더 나가면 기본소득형태로 (복지 정책이) 가야 하지 않나”라고 덧붙였다.
다만 이 지사는 다른 간담회에서 복지대타협 특별위원회의 방향성에 대해 ‘현금 복지를 줄이는 것뿐만이 아니라 지역적 특성에 맞게 효율적인 복지정책을 추진하자는 차원에서 바람직한 현상’이라고 규정하면서 특위와의 직접적인 의견 충돌은 피한 바 있다.
■신도시 정착 노력ㆍ도의회와의 긍정적 관계 기대
이 지사는 신도시 문제에 대해 “1기, 2기, 3기 신도시에서 불만이 터져 나오고 있다”며 “(신도시 개발은) 피할 수 없다. 최대한 기반시설을 확보하고 도시 자족기능을 강화하면서 광역교통시설을 철도나 도로 중심으로 확충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어 이 지사는 지난 도의회에서 청년면접수당 등이 전액 삭감된 점에 대해 “크게 보면 일부 사업 외에는 도의회가 다 받아준 것”이라며 “시장상권진흥원 예산은 아쉽지만 다음에 부족한 부분을 채워서 다시 요청하겠다”라고 피력했다.
이밖에 이 지사는 최근 여론조사에서 여권 대선주자 2위를 기록한 것을 놓고 “여론조사는 바람과 같다. 크게 신경 안 쓴다”면서 말을 아꼈다.
여승구ㆍ김해령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