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프리카돼지열병 고양·양주·포천·동두천도 특별관리

정부, 14곳으로 확대… 道, 긴급방역 등 유입 방지 총력

아프리카돼지열병(ASF)이 북한 등을 통해 국내에 유입될 가능성이 높아진 가운데 정부가 5일 국내 유입 차단을 위한 특별관리지역을 기존 10곳에서 고양·양주·포천·동두천 등을 포함, 14곳으로 확대키로 했다.

정부는 이날 세종청사에서 이낙연 국무총리 주재로 국정현안점검조정회의를 열어 ‘아프리카돼지열병 대응 강화방안’을 확정했다. 정부는 아프리카돼지열병이 북한 등을 통해 국내에 유입될 가능성이 높아진 만큼 야생 멧돼지의 이동거리(하루 최대 15㎞) 등을 고려, 특별관리지역 기존 10곳에 고양·양주·포천·동두천을 추가했다.

이에 따라 특별관리지역은 기존 강화·옹진·김포·파주·연천·철원·화천·양구·인제·고성을 포함해 총 14곳이 됐다.

특별관리지역에는 아프리카돼지열병 상황실과 통제초소, 거점소독시설 등이 설치·운영된다. 또 관리지역 내 전체 양돈 농가에 대해 아프리카돼지열병 감염 여부를 확인하기 위한 혈청 검사가 이뤄진다.

이와 관련 경기도는 김포, 파주, 연천 192개 농가에 대해 긴급 방역에 나섰다. 특히 도는 거점 소독 시설 3곳(김포·파주·연천), 통제 소독시설(파주 3곳)을 설치했으며, 이들 3개 지역에 대한 양돈 농가에 담당관 54명을 투입, 방역실태를 긴급 점검과 함께 유입 방지에 총력전을 벌이고 있다.

정부는 이와 함께 농림축산식품부 차관을 단장으로 하는 ‘ASF 대응 관계 부처 협의체’를 운영하고, 관계 부처 및 지자체 합동 영상회의를 매일 개최키로 했다.

한편 정부는 이달 중 전국 6천300개 양돈농가를 일제 점검·소독하고, 전국 46개 거점소독시설도 일제히 가동에 들어간다. 강해인기자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