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로벌 핀테크 10대 트렌드 선정…서비스접근성 더 개선돼야
국내 핀테크·빅테크·금융회사 간 경쟁은 해외와 비교해 아직 불충분하고, 중·장기적으로 집중 심화할 가능성이 제기됐다.
금융감독원은 글로벌 핀테크 10대 트렌드를 선정하고 국내 핀테크 현황과 비교·분석한 결과를 6일 발표했다.
금감원은 국내외 주요 기관 보고서를 토대로 글로벌 핀테크 10대 트렌드를 선정했다. 10대 트렌트는 ▲핀테크 기업 인수·합병 확대, ▲빅테크(Big-Tech) 기업의 시장 잠식 가속화, ▲핀테크 기업과 전통금융기관간 협력 강화, ▲핀테크 기업의 종합 금융플랫폼 사업 확대, ▲핀테크 기업의 IPO 성공 추세 둔화, ▲금융IT 인프라의 클라우드 전환 가속화, ▲인슈어테크의 성장, ▲블록체인 기술 적용 확대, ▲레그테크(RegTech) 투자 가속화, ▲사회적 혁신금융의 부상 등이다.
금감원은 국내 핀테크 산업에 대해 글로벌 대비 금융시장 경쟁촉진 효과는 미약한 반면, 금융시장 불안 우려는 아직 제한적인 상황이라고 평가했다. 인수합병을 통한 핀테크 기업의 성장경로가 아직 부족하고, 빅테크 기업의 금융영역 진출 사례도 많지 않아 경쟁촉진 효과는 상대적으로 미약하다는 것이다.
글로벌 동향을 보면 핀테크 기업이 인수 합병을 통해 빠르게 성장하고, 구글·애플·아마존 등 빅테크 기업이 금융시장에 진출하고, 기존 금융회사와 경쟁이 심화하고 있다.
국내 상황은 핀테크 혁신으로 소비자 편익이 확대되고 있으나 글로벌 대비 다소 미흡하며, 클라우드, 블록체인 등의 신기술 활용이 활발하지 않아 금융안정성 침해 우려는 제한적이다. 해외에서는 핀테크·빅테크·금융회사간 경쟁 심화, 정보기술 외부 의존도 증가, 블록체인 등 신기술 적용 확대 등 금융안정성에 대한 잠재적 위험 요인이 증가하고 있다.
금감원은 국내의 핀테크·빅테크·금융회사 간 경쟁은 글로벌 대비 아직 불충분하고, 중·장기적으로 집중심화될 가능성을 제기됐다. 금융회사 출자, 모험자본 투자, 정부 정책펀드 조성 등 핀테크 기업 투자 활성화를 통해 유효경쟁 촉진 방안이 강구되야 하는 글로벌 대비 금융시장 내 경쟁 도가 높지 않고 정보기술 외부 의존 및 신기술 활용이 저조해 시스템 불안정 유발 요인은 제한적인 상황이라고 평가했다.
간편송금, P2P대출, 인슈어테크 등 핀테크 혁신으로 금융서비스 접근성이 개선됐지만, 글로벌 대비 아직 미흡하다고 분석됐다. 비대면·온라인으로 제공되는 금융상품 및 서비스 관련 소비자 보호를 강화해야 한다고 금감원은 설명했다.
서울=민현배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