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민속촌 '양기철철 단오' 행사

우리나라 3대명절인 음력 5월 5일 단오(양력 7일)을 맞아 용인 한국민속촌에서 열린 '양기철철 단오'행사에서 시민들이 창포물로 머리를 감고 있다. 창포 삶은 물에 머리를 감으면 창포꽃의 향기가 잡귀와 병을 쫒아낸다는 속설이 있다. 윤원규기자
우리나라 3대명절인 음력 5월 5일 단오(양력 7일)을 맞아 용인 한국민속촌에서 열린 '양기철철 단오'행사에서 시민들이 창포물로 머리를 감고 있다. 창포 삶은 물에 머리를 감으면 창포꽃의 향기가 잡귀와 병을 쫒아낸다는 속설이 있다. 윤원규기자
우리나라 3대명절인 음력 5월 5일 단오(양력 7일)을 맞아 용인 한국민속촌에서 열린 '양기철철 단오'행사에서 직원이 창포를 삶고 있다. 창포 삶은 물에 머리를 감으면 창포꽃의 향기가 잡귀와 병을 쫒아낸다는 속설이 있다. 윤원규기자
우리나라 3대명절인 음력 5월 5일 단오(양력 7일)을 맞아 용인 한국민속촌에서 열린 '양기철철 단오'행사에서 직원이 창포를 삶고 있다. 창포 삶은 물에 머리를 감으면 창포꽃의 향기가 잡귀와 병을 쫒아낸다는 속설이 있다. 윤원규기자
우리나라 3대명절인 음력 5월 5일 단오(양력 7일)을 맞아 용인 한국민속촌에서 열린 '양기철철 단오'행사에서 시민들이 창포물로 머리를 감고 있다. 창포 삶은 물에 머리를 감으면 창포꽃의 향기가 잡귀와 병을 쫒아낸다는 속설이 있다. 윤원규기자
우리나라 3대명절인 음력 5월 5일 단오(양력 7일)을 맞아 용인 한국민속촌에서 열린 '양기철철 단오'행사에서 시민들이 창포물로 머리를 감고 있다. 창포 삶은 물에 머리를 감으면 창포꽃의 향기가 잡귀와 병을 쫒아낸다는 속설이 있다. 윤원규기자
우리나라 3대명절인 음력 5월 5일 단오(양력 7일)을 맞아 용인 한국민속촌에서 열린 '양기철철 단오'행사에서 시민들이 창포물로 머리를 감고 있다. 창포 삶은 물에 머리를 감으면 창포꽃의 향기가 잡귀와 병을 쫒아낸다는 속설이 있다. 윤원규기자
우리나라 3대명절인 음력 5월 5일 단오(양력 7일)을 맞아 용인 한국민속촌에서 열린 '양기철철 단오'행사에서 시민들이 창포물로 머리를 감고 있다. 창포 삶은 물에 머리를 감으면 창포꽃의 향기가 잡귀와 병을 쫒아낸다는 속설이 있다. 윤원규기자
우리나라 3대명절인 음력 5월 5일 단오(양력 7일)을 맞아 '양기철철 단오'행사가 열린 용인 한국민속촌에서 기방을 찾은 시민들이 기녀복장 체험을 하고 있다. 말을 할 줄 아는 꽃이라는 뜻에서 ‘해어화(解語花)라고도 불렸다. 윤원규기자
우리나라 3대명절인 음력 5월 5일 단오(양력 7일)을 맞아 '양기철철 단오'행사가 열린 용인 한국민속촌에서 기방을 찾은 시민들이 기녀복장 체험을 하고 있다. 말을 할 줄 아는 꽃이라는 뜻에서 ‘해어화(解語花)라고도 불렸다. 윤원규기자
우리나라 3대명절인 음력 5월 5일 단오(양력 7일)을 맞아 용인 한국민속촌에서 열린 '양기철철 단오'행사에서 시민들이 전통 염색 체험을 하고 있다. 치자, 오디 등 자연에서 나오는 염료를 이용하여 흰천을 색색이 물들이고 있다. 윤원규기자
우리나라 3대명절인 음력 5월 5일 단오(양력 7일)을 맞아 용인 한국민속촌에서 열린 '양기철철 단오'행사에서 시민들이 전통 염색 체험을 하고 있다. 치자, 오디 등 자연에서 나오는 염료를 이용하여 흰천을 색색이 물들이고 있다. 윤원규기자
우리나라 3대명절인 음력 5월 5일 단오(양력 7일)을 맞아 '양기철철 단오'행사가 열린 용인 한국민속촌에서 시민들이 전통 염색 체험을 하고 있다. 치자, 오디 등 자연에서 나오는 염료를 이용하여 흰천을 색색이 물들이고 있다. 윤원규기자
우리나라 3대명절인 음력 5월 5일 단오(양력 7일)을 맞아 '양기철철 단오'행사가 열린 용인 한국민속촌에서 시민들이 전통 염색 체험을 하고 있다. 치자, 오디 등 자연에서 나오는 염료를 이용하여 흰천을 색색이 물들이고 있다. 윤원규기자
우리나라 3대명절인 음력 5월 5일 단오(양력 7일)을 맞아 '양기철철 단오'행사가 열린 용인 한국민속촌에서 풍물놀이를 하고 있다. 현충일을 맞아 많은 시민들이 각지의 관광지를 찾았다. 윤원규기자
우리나라 3대명절인 음력 5월 5일 단오(양력 7일)을 맞아 '양기철철 단오'행사가 열린 용인 한국민속촌에서 풍물놀이를 하고 있다. 현충일을 맞아 많은 시민들이 각지의 관광지를 찾았다. 윤원규기자
우리나라 3대명절인 음력 5월 5일 단오(양력 7일)을 맞아 '양기철철 단오'행사가 열린 용인 한국민속촌에서 기방을 찾은 시민들이 기녀복장 체험을 하고 있다. 말을 할 줄 아는 꽃이라는 뜻에서 ‘해어화(解語花)라고도 불렸다. 윤원규기자
우리나라 3대명절인 음력 5월 5일 단오(양력 7일)을 맞아 '양기철철 단오'행사가 열린 용인 한국민속촌에서 기방을 찾은 시민들이 기녀복장 체험을 하고 있다. 말을 할 줄 아는 꽃이라는 뜻에서 ‘해어화(解語花)라고도 불렸다. 윤원규기자
우리나라 3대명절인 음력 5월 5일 단오(양력 7일)을 맞아 '양기철철 단오'행사가 열린 용인 한국민속촌에서 연기자들이 아름다운 춤을 추고 있다. 현충일을 맞아 많은 시민들이 각지의 관광지를 찾았다. 윤원규기자
우리나라 3대명절인 음력 5월 5일 단오(양력 7일)을 맞아 '양기철철 단오'행사가 열린 용인 한국민속촌에서 연기자들이 아름다운 춤을 추고 있다. 현충일을 맞아 많은 시민들이 각지의 관광지를 찾았다. 윤원규기자
우리나라 3대명절인 음력 5월 5일 단오(양력 7일)을 맞아 '양기철철 단오'행사가 열린 용인 한국민속촌에서 연기자들이 아름다운 부채춤을 추고 있다. 현충일을 맞아 많은 시민들이 각지의 관광지를 찾았다. 윤원규기자
우리나라 3대명절인 음력 5월 5일 단오(양력 7일)을 맞아 '양기철철 단오'행사가 열린 용인 한국민속촌에서 연기자들이 아름다운 부채춤을 추고 있다. 현충일을 맞아 많은 시민들이 각지의 관광지를 찾았다. 윤원규기자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