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연구원, 3기 신도시 광역교통대책 개선방안 제언 보고서 발표

수도권 3기 신도시의 광역교통문제는 신도시 자족 기능 강화와 효율적인 광역버스 운영으로 해결해야 한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경기연구원은 9일 ‘수도권 3기 신도시 광역교통대책 추진방안’ 보고서를 발표했다.

보고서는 3기 신도시 광역교통대책으로 자족기능 강화와 구체적인 일자리 계획을 통해 서울로 출퇴근하는 신도시의 광역교통 수요를 감소시키고, 입주 초기 광역버스 중심의 광역교통체계를 구축해야 한다는 내용을 담고 있다.

정부는 지난해 9월 수도권에 330만㎡ 이상 신도시 4∼5곳을 추가로 조성하는 3기 신도시 계획을 발표했다. 남양주 왕숙, 하남 교산, 인천 계양 등 6개 지구에 주택 30만 호를 공급하겠다는 것이다.

서울 경계로부터 2km 이내에 조성, 서울 도심까지 30분에 출퇴근이 가능한 도시를 만드는 것이 3기 신도시 광역교통의 목표다. 하지만 앞선 1, 2기 신도시 개발은 도로와 철도 건설, 연계 도로 확충과 철도 연장 등 여러 교통대책을 추진했는데도 광역교통 문제를 해결하는 데 한계가 있었다.

이에 조응래 선임연구위원은 “서울로 출퇴근하는 광역교통 수요를 줄이기 위해 신도시에 계획된 자족 용지를 지역의 성장 동력으로 활용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그는 개선방안으로 ▲3기 신도시 자족 기능 강화와 구체적인 일자리 계획 수립 ▲입주 초기 광역버스 중심의 광역교통체계 구축 등을 제안했다. 김해령기자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