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수구 ‘송도 쓰레기 자동집하시설 민·관 협의회’ 첫 회의
문제점 공개 해법 모색… 분리수거 대책·보수비용 산정
음식물쓰레기 재활용 등 제 기능을 하지 못하는 송도 쓰레기 자동집하시설의 문제점 개선을 위한 민·관 협의회 운영을 시작했다.
인천시 연수구는 지난 10일 송도 쓰레기 자동집하시설 민·관 협의회 첫 회의를 열었다고 11일 밝혔다.
민·관 협의회는 공무원 4명, 주민대표 8명, 시의원 1명, 구의원 3명, 전문가 3명, 시민단체 2명 등 21명으로, 송도 쓰레기 자동집하시설에 대한 주민들의 합의와 정책방안을 마련하기 위해 구성됐다.
이번 회의에서는 민·관 협의회 운영 방향과 계획을 논의했고, 이달 말부터 매월 소위원회를 운영해 실무적 업무를 수행하기로 했다.
협의회는 앞으로 음식물류 폐기물 분리수거 대책을 마련하고, 주요 시설 보수 계획 수립과 비용을 산정한다. 이와 함께 소유권 이전 관련 대책을 논의하고, 음식물류 폐기물 투입시설 사용 중단에 따른 분양자 부담 보상방안도 마련한다.
송도 쓰레기 자동집하시설은 송도국제도시 1~7공구에 설치된 53.6㎞의 생활폐기물 지하 수송관로와 7개의 집하장으로 이뤄진 시설이다.
1일 평균 35t의 쓰레기를 지하수송관로를 통해 집하장으로 모아 폐기물 처리시설로 보낸다.
하지만 생활 쓰레기와 음식물쓰레기를 하나의 관로를 통해 일정 시간 간격으로 집하장으로 보내는 방식이기 때문에 2종류의 쓰레기가 뒤섞여 음식물쓰레기 재활용이 불가능한 실정이다.
고남석 연수구청장은 “자동집하시설 문제점을 더 이상 덮어두지 말고 이제 시작이라는 생각으로 모든 문제점을 공개해야 한다”며 “이해당사자와 시민이 함께하는 공론화 작업을 통해 서로 합의하고 공감할 수있는 정책방향을 모색하도록 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민수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