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시, 노선개편 추진단 조직안 마련
노선운영체계 개편·효율화 연구용역
지하철·시내버스 노선 환승체계 구축
인천시가 버스 노선 직선화, 주요 지점별 환승 기능 강화 등을 위한 용역을 발주하는 등 본격적인 노선 개편에 나선다.
12일 시에 따르면 최근 노선운영체계 개편 및 효율화방안 연구용역을 발주와 함께 노선개편 추진단 조직 안을 마련했다.
우선 시는 용역에서 버스 이용객의 동선 위주로 노선을 직선화해 버스 이용률과 노선의 효율성을 높이는 방안을 검토한다.
이 과정에서 과다한 운행 대수를 투입하는 노선의 운행 체계를 재조정하고 노선의 중복도를 개선, 신도시와 원도심 간 시내버스 공급 불균형을 해결한다.
시의 전체적인 노선 개편 방향은 굴곡 노선과 장거리 노선을 각각 직선화하고 운행 거리를 단축하는 것이다. 이를 잘 보여주는 것이 현재 간선 위주에서 지선 위주의 노선 개편을 추진하는 것이다.
장거리 이동 수요에 대해선 지하철과 시내버스 노선 간 환승 체계를 구축해 해결한다.
용역은 7월부터 10개월 동안 이뤄진다. 용역에서는 현재 인천 지역을 운행 중인 시내버스 전 노선 198개 노선 2천359대에 대한 수요 분석 및 권역별 차고지 활용방안, 노선개편안 등을 마련한다.
이와 함께 시는 노선개편 사업을 담당하는 노선개편 추진단을 신설한다.
노선개편 추진단은 노선운영팀, 노선개편팀, 서비스개선팀, 운행지원팀 등 4개 팀으로 이뤄지며 총 인원은 단장과 부단장 포함 총 22명이다.
시는 노선개편팀은 오는 7월, 서비스개선팀과 운행지원팀은 2020년 1월 신설한다.
특히 노선 개편 용역을 담당하는 실무책임자를 노선개편관리관으로 지정, 노선개편 전반에 관한 조언을 받을 계획이다.
또 시는 용역 담당자, 버스 운송 노조, 버스업체, 공무원 등으로 민·관 테스크포스(TF)를 구성, 관련 기관의 의견도 수렴한다.
시 관계자는 “주 52시간 근무제로 현재 시내버스 노선을 그대로 유지하면 2024년 2천억원의 시비 부담을 예상한다”며 “행정 빅데이터를 활용한 데이터 분석으로 시민의 버스이용 편의를 높이는 방안을 수립하겠다”고 했다.
이승욱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