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산업과 이관 등 문제 제기
제2차 본회의 전까지 재개 예정
경기도의회가 민선 7기 경기도의 첫 대규모 조직개편과 관련한 조례안 상정을 보류했다. 이는 개편안에 대한 도와 도의회의 충분한 협의가 필요한 만큼 상임위별 의견 수렴을 거친 뒤 심의하겠다는 방침에 따른 것이다.
13일 도의회 기재위는 도가 제출한 ‘경기도 행정기구 및 정원조례 일부개정조례안’을 이날 열린 제336회 정례회 기재위 2차 회의에 상정하지 않고 오는 25일 제2차 본회의 전까지 심의일을 다시 정해 논의하기로 했다.
이날 정대운 기획재정위원장(더불어민주당·광명2)은 “상임위별 의견을 모두 넘겨받고 나서 이를 참고해 합리적인 조직개편 방안을 찾겠다”며 “다음 주 중반 회의를 열어 안건을 심의하겠다”고 밝혔다.
이번 개편안에는 노동국, 공정국 등을 신설하고, 일부 부서의 폐지ㆍ통합ㆍ신설 등을 통해 기존 135개였던 과를 140개로 확대하는 내용을 담았다.
도의회에서는 문화체육관광국 소관의 콘텐츠산업과를 경제실로 이관하려는 것에 대해 문제를 제기했고, 복지여성실 폐지에 대해서도 북부 홀대론이 나오기도 했다.
이에 대해 임종철 도 기획조정실장은 “콘텐츠산업과의 경우 문화체육관광위원회와 경제과학기술위원회에서 모두 심의하도록 하자는 의회의 안도 충분히 가능하다고 본다. 문화적 기능과 4차 산업혁명을 위한 기능을 모두 키워나갈 수 있을 것”이라며 “복지여성실 폐지의 경우 관련 부서들(과)이 북부에 있기 때문에 결정권자만 남부에 둬서 결정은 빠르고, 북부지역의 현장 접근성을 살리는 기회가 될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와 함께 이날 기재위 소속 유영호 의원(더불어민주당ㆍ용인6)은 회의 중 신상발언을 통해 조직개편과 관련, 기존 독임제로 인해 독립성 확보가 어려운 도 감사관실의 구조적 문제점을 지적하고, 합의제 감사기구인 감사위원회 설치의 필요성을 강조했다. 현재 7개 광역단체(제주ㆍ서울ㆍ세종ㆍ충남ㆍ광주ㆍ강원ㆍ대전)가 합의제 감사기구인 감사위원회를 도입ㆍ운영하고 있는 만큼 경기도에도 이 같은 전환이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이와 관련, 도 관계자는 “충분히 논의해볼만한 내용이나 이번 회기의 조직개편안에 포함하는 것은 조례 준비 등 준비과정이 필요해 불가능하다”고 말했다. 최현호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