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의회·시민단체 개선방안 미흡 질타
“운수종사자 친철 교육·청결관리 외
피부로 와닿는 실질적인 개선책 필요”
경기도가 큰 이견 없이 9월께 시내버스 요금을 200원 인상할 방침이지만 이에 따른 ‘버스업계 서비스 개선’이 큰 과제로 남았다. 경기도의회, 시민단체 측은 ‘불가피한 요금 인상’에 대한 서비스 향상 조치가 미흡하다며 일제히 도의 계획안을 질타했다.
도는 17일 경기도교통연수원에서 ‘경기도 시내버스 요금조정 계획(안) 공청회’를 개최, 이 같은 의견을 수렴했다.
이날 도는 일반 시내버스 요금을 현행 1천250원에서 1천450원으로, 직행좌석버스(광역버스) 요금을 2천400원에서 2천800원으로 각각 인상하는 방안 등을 담은 시내버스 요금 조정 계획안을 발표했다. 또 도는 요금인상에 따른 서비스 향상 추진계획을 공개했다. 추진계획의 주요 내용은 ▲운수종사자 친절서비스 교육 실시 ▲운수종사자 복지후생 개선 ▲시내버스 청결관리 등이다.
이날 공청회에서 버스 노사와 시민단체 등은 요금 인상 폭에 대해 ‘대체로 받아들일 수 있다’며 입을 모았다. 그러나 버스업계와 도가 내놓은 서비스 개선 방안에 대해서는 갑론을박이 오갔다.
조재훈 도의회 건설교통위원장(더불어민주당ㆍ오산2)은 “버스요금 인상에 따른 도의 서비스 향상 추진 계획이 굉장히 실망스럽다”며 “운수종사자 친절서비스 교육 강화, 안전교육 강화 등 이런 건 중요한 게 아니다. 소비자들이 피부로 와 닿는 실질적인 개선 계획이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박명자 소비자교육중앙회 경기도지부 회장도 “최저임금 인상, 주 52시간제 시행, 물가상승률 등을 봤을 때 버스 요금 인상이 불가피하다는 것에 동의하지만 이에 맞는 운전자들의 교양교육 등 서비스 개선이 필수적으로 이뤄져야 한다”고 강조했다.
반면 강대견 신진 시내버스 대표는 “시내버스 요금 기준으로 200원 인상안이 타당한지 모르겠지만 이 정도라도 올려야 한다”며 “버스는 요금 외 달리 수익구조가 없어 서비스 개선을 하려면 요금 인상은 필수적인데, 이 인상 폭으로 1년이면 그간 업계 적자를 메우는데 다 쓸려가지 않을까 우려된다”고 주장했다.
끝으로 장원호 경기지역자동차노조 위원장은 “도가 9월 요금을 인상할 계획인데 우리는 당장 7월 1일부터 주 52시간제에 맞춰 일해야 한다. 요금이 인상된다면 임금인상 협의는 노사가 풀어가겠다”며 “요금 오르면 시민 불편이 없도록 잘 조율해 다음 달 버스 대란이 없도록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한편 도는 이날 공청회에 이어 이달 중으로 버스정책위원회 심의 및 자문을 거쳐 교통복지 및 서비스 향상 방안을 마련할 방침이다. 이어 7월부터 서울시ㆍ코레일 등과 수도권 통합환승할인제 기관 협의를 추진하고, 도의회 의견 수렴을 거쳐 현재의 요금조정 계획안을 손질해 최종 인상안을 내놓을 방침이다. 이재명 도지사는 후속 절차가 진행되는 대로 9월께 인상 요금을 확정할 방침이다.
여승구ㆍ김해령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