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년 일자리 정책' 관련 생생한 청년 의견 청취…수원시, '청년 일자리 토크 콘서트' 개최

18일 수원컨벤션센터에서 열린 ‘청년 일자리 토크 콘서트’ 참석자들이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수원시 제공
18일 수원컨벤션센터에서 열린 ‘청년 일자리 토크 콘서트’ 참석자들이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수원시 제공

수원에서 ‘청년 일자리’ 창출과 관련 정부 및 지방자치단체 관계자와 청년대표 등이 머리를 맞대는 ‘토론의 장’이 마련됐다.

수원시는 18일 수원컨벤션센터에서 대통령직속일자리위원회와 공동으로 ‘청년 일자리 토크 콘서트’를 개최했다. 이날 행사에는 이목희 일자리위원회 부위원장을 비롯해 염태영 수원시장, 박승원 광명시장, 안승남 구리시장, 김종천 과천시장, 청년대표 등 100여 명이 참석해 청년 일자리 정책이 나아갈 방향을 논의했다.

이목희 부위원장은 “일자리 창출은 문재인 정부의 핵심 과제로 청년 일자리는 그중에서도 최우선 과제”라며 “중앙정부가 주도하는 ‘하향식’ 일자리 정책에서 벗어나 청년과 지역이 주도하는 ‘상향식’ 일자리 정책을 펼쳐 더 좋은 일자리를 만들겠다”고 말했다.

본격적으로 시작된 토론회에서는 청년대표들이 효과적으로 청년 일자리를 창출할 수 있는 여러 방안을 제시했다. 문성철 수원시 청년정책위원장은 “지역경제와 지역 도시가 살려면 유니콘 기업(기업가치 10억 달러 이상 스타트업)이 많이 나와야 한다”며 “청년 스타트업이 매출주도 성장을 할 수 있도록 창업 시장을 조성해 달라”고 말했다.

김효진 수원시 청년정책부위원장은 청년지원금 제도의 표준화 필요성을 강조했다. 그는 “청년 구직활동 지원, 청년창업 지원 같은 청년지원금 제도가 지자체별로 대상이나 방법이 달라 지역별로 청년들의 상대적 빈곤과 박탈감이 증가하고 있다”라고 지적했다.

이 밖에도 참석자들은 ▲청년지원 수당 표준화 ▲청년 친화적 직장 분위기 조성 ▲창업지원센터 입주기한 연장 등 다양한 의견을 제시했다. 이에 이목희 부위원장은 “청년들이 제안한 의견을 적극적으로 반영해 현장에서 체감할 수 있는 지원정책을 만들겠다”고 답했다.

염태영 수원시장은 “그동안 중앙정부가 일방적으로 시행한 일자리 정책은 지역 현장과 맞지 않는 부분이 많았다”며 “이제는 자치분권 시대인 만큼 지역 현장에서 청년의 목소리를 듣고 혁신적인 일자리 정책을 만드는 ‘현장주도형 일자리정책’으로 패러다임을 바꿔야 한다”고 말했다.

채태병기자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