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사민정 ‘경기고용노동청’ 신설 총력

경기도·도의회·한노총·경기경총 올해 첫 협의회 열고 협약
노동행정 경기지역 홀대론 ‘범도민 추진단’ 구성 합의

20일 경기도청 제1회의실에서 열린 ‘2019년도 제1회 경기도 노사민정협의회’에서 (왼쪽부터)김용묵 한국노총 경기지역본부 의장, 이재명 경기도지사, 송한준경기도의회 의장, 조용이 경기경영자총협회 회장이 경지지방고용노동청 신설 촉구 협약서에 서명 후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전형민기자
20일 경기도청 제1회의실에서 열린 ‘2019년도 제1회 경기도 노사민정협의회’에서 (왼쪽부터)김용묵 한국노총 경기지역본부 의장, 이재명 경기도지사, 송한준경기도의회 의장, 조용이 경기경영자총협회 회장이 경지지방고용노동청 신설 촉구 협약서에 서명 후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전형민기자

경기도와 경기도의회, 한국노총경기지역본부, 경기경영자총협회가 ‘경기지방고용노동청’ 신설을 위한 ‘범도민 추진단’을 구성하기로 했다. 향후 이들 노사민정은 추진단을 통해 각종 활동으로 경기지방고용노동청 신설을 이끌어내 효율적인 노동 행정서비스 제공을 이뤄내겠다는 방침이다.

이재명 도지사와 송한준 도의회 의장, 김용목 한국노총경기지역본부 의장, 조용이 경기경영자총협회 회장은 20일 경기도청에서 열린 ‘2019년도 제1회 경기도 노사민정협의회’에서 이 같은 내용의 ‘경기지방고용노동청 신설 성공적 추진을 위한 협약서’에 서명했다.

이날 협의회에는 이상원 한국노총 비정규직연대회의 의장, 이정한 ㈜비와이인더스트리 대표이사, 이정희 경기여성연대 사무국장 등 도 노사민정 협의회 위원 17명이 참석했다.

경기도는 전국에서 가장 큰 광역지자체지만, 경기지역 노동행정은 별도의 독립기관 없이 인천시·강원도와 함께 중부지방고용노동청에서 총괄해왔다. 실제 현재 중부지방고용노동청의 경기지역 관할 노동자 수는 423만여 명으로, 인천·강원을 포함한 전체 노동자 수의 76%이자 서울지방고용노동청 관할 노동자 수인 421만여 명보다 많은 실정이다.

이번 협약에 따라 경기도 등 4개 기관은 전국 최대 규모의 지자체에 걸맞게, 효율적인 노동 행정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경기지방고용노동청 신설’을 성공적으로 추진할 수 있도록 긴밀히 협력하기로 했다.

이를 위해 올해 7월까지 ‘경기도 노사민정 본 협의회’ 내에 경기지방고용노동청 신설 촉구를 위한 ‘범도민 추진단’을 구성·운영하기로 했다. 추진단을 통해 온·오프라인 활동, 서명 캠페인, 대 정부 촉구결의 활동 등을 효과적으로 추진하겠다는 계획이다. ‘범도민 추진단’의 세부 추진사항과 기관별 역할은 7월 열릴 노사민정 실무협의회에서 논의·결정할 방침이다.

아울러 이날 협의회에서는 ‘경기지역화폐 활성화를 위한 경기도 노사민정 공동상생 선언문’을 채택하는 시간도 가졌다.

이밖에 협의회에서는 민선 7기 노동정책 주요성과 및 추진방향, 경기지역화폐를 통한 지역경제 활성화 방안에 대해 논의했으며, 최미라 한국노총 경기지역본부 부의장, 김미경 ㈜명성에프엠씨 대표이사 등 8명을 경기도 노사민정협의회 신규위원으로 위촉했다.

특히 이날 이재명 지사는 경기지방고용노동청 신설을 촉구하면서 정부의 ‘노동경찰’ 권한을 지자체에 나누는 방안에 대해서도 강조, 관계기관의 적극적인 협조를 당부했다.

이 지사는 “노동현안에 대해 정부가 할 일이 많은데 인력부족으로 많은 고생을 하고 있다”며 “지방정부에 식품이나 불법대부 등을 감시·제재하는 권한을 일부 주는 것처럼 노동법규 위반에 대해서도 지자체에 권한을 나눠주면 좋을 것”이라고 강조했다. 최현호기자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