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재명 경기도지사가 골목경제 활성화를 위해 역점 사업으로 추진 중인 ‘지역화폐 확대 발행’이 본격적으로 진행한 지 두 달 만에 누적 발행액 1천억 원을 넘어섰다. 경기도는 정책 성공의 신호탄이 울린 만큼 지역화폐 투자 규모를 더 확대, 지역경제를 견인할 ‘화폐 뉴딜’ 정책으로 구축한다는 복안이다.
23일 도에 따르면 지난 4월 모든 시ㆍ군(31곳)에서 지역화폐를 발행한 이후 현재(6월 9일 기준) 누적 발행액은 1천276억여 원으로 집계됐다. 발행액 수치는 성남ㆍ시흥 등 일부 시ㆍ군이 지역화폐를 선도적으로 보급했던 만큼 올 1월 1일부터 계산됐다. 이번 액수는 연간 목표액 4천961억 원 중 25.7%를 달성한 것이다.
우선 도민이 직접 발행받는 ‘일반발행(지역화폐 앱 등을 통해 6~10% 인센티브 수령)’을 보면 연간 목표액 1천379억 원의 44.2%인 609억 원을 기록했다. 지역별 일반발행 실적에서는 성남시(76억 원), 시흥시(71억 원), 안양시(58억 원) 등 3개 시가 전체의 34%를 차지했다. 3개 시는 도내 확대 발행에 앞서 자체적으로 지역화폐를 지급한 지역이다. 아울러 4월에 발행을 시작한 화성시(39억 원), 부천시(36억 원), 수원시(30억 원) 등도 비교적 높은 액수를 보였다.
지역화폐로 청년기본소득과 산후조리비 등을 지급하는 ‘정책발행’은 연간 목표액 3천582억 원의 18.6%인 667억 원으로 확인됐다. 청년기본소득 257억 원, 산후조리비 131억 원, 그밖에 아동수당과 공무원 복지포인트 277억 원이다.
도는 지역화폐 확대 발행이 사업 초기 성공적으로 자리 잡은 만큼 경기도형 화폐 뉴딜 정책을 이어갈 방침이다. 이는 ‘기본소득-지역화폐-골목상권’ 등을 연계, 복지가 지역경제를 견인하는 선순환 경제 체계다.
한편 행정안전부는 이달 전국 지역화폐 발행수요를 조사하고 다음 달 국무회의 의결을 거쳐 지역화폐 발행비용 보조 국비를 교부할 예정이다. 이에 따라 도는 31개 시ㆍ군과 함께 올해 발행목표액을 상향 조정할 예정이다.
여승구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