환경부 등 중앙정부와 인천시가 붉은수돗물(적수) 사태에 대해 공동 대처하기로 했다.
환경부와 인천시는 21일 인천시청에서 합동브리핑을 열고 적수 사태 정상화 시점을 최대한 단축하기 위해 환경부·한국수자원공사·시가 ‘정상화 지원반’을 인천시청에서 운영하기로 했다고 23일 밝혔다. 또 현 20명 수준인 정상화 지원반에 수자원공사의 가용인력도 추가로 투입한다.
주민 불안과 불신을 해결하기 위한 노력도 강화한다.
우선 환경부 주관으로 수돗물 안심지원단을 구성, 민원 현장을 직접 방문해 정확한 수질 실태조사와 분석을 추진한다. 또 그 결과를 매일 공개한다.
수돗물 안심지원단은 환경부, 국립환경과학원, 수자원공사 등 관계기관 소속 23명으로 구성한다.
이와 함께 환경부와 시는 합동 수질검사 결과와 복구 진행상황, 생수 및 학교 급식 지원상황에 대해 일일 브리핑으로 지역 주민에게 설명한다.
또 환경부는 유사 사례가 재발하지 않도록 재난 예방부터 복구까지 전 과정에 대한 먹는 물 분야 재난예방 및 대응체계 종합계획을 7월 중 마련한다. 이번 사고의 원인조사 및 후속조치 추진과정 등 전 과정을 담은 백서도 발간한다.
식품의약품안전처는 24일까지 피해 지역학교의 대체급식 공급업체와 음식재료 납품업체 등 55곳에 대한 위생 점검을 끝낼 방침이다.
이 밖에도 시는 주민단체를 포함한 ‘민관합동정상화위원회(가칭)’를 구성해 객관성 있는 보상 기준을 마련한다. 피해보상은 원칙적으로 시가 부담하되 중앙정부도 노후상수도 사업 우선 지원 등 간접적 지원 방안을 검토한다.
김영훈 환경부 물통합환경국장은 “하루빨리 피해지역 주민들이 안심하고 수돗물을 사용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며 “더 나아가 국민 모두가 깨끗하고 안전한 물을 마실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한편, 수돗물 안심지원단은 지난 15일과 17일 공촌정수장 정수지 2곳에 대한 청소를 끝내고 수질개선 효과를 검증하기 위한 필터실험 등을 통해 수질을 모니터링 중이다. 지난 19일부터는 송수관로 이물질을 제거하기 위한 이토(물 배수) 작업을 15개 지점에 대해 지속 추진 중이며 검단배수지 등 적수 사태 발생 지역 배수지 8곳 중 4개 배수지 청소를 끝냈다.
이승욱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