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역교통개선대책 지연되면 3기 신도시도 ‘베드타운’화 피할 수 없어”…‘국토부 신도시 포럼 발족식’ 개최

슈퍼 간선급행버스체계(S-BRT)와 지하철 신설ㆍ연장 등 광역교통개선대책이 지연되면 3기 신도시도 ‘베드타운’ 화를 피할 수 없다는 지적이 나왔다. 3기 신도시가 광역버스 중심의 광역교통체계를 구축, 입주 초기 불편을 해소해야만 앞서 1ㆍ2기 신도시의 전철을 밟지 않는다는 것이다.

국토교통부는 25일 ‘신도시 포럼 발족식’을 개최했다. 신도시 포럼은 대규모 신규택지의 청사진 마련을 위해 각 분야의 전문가 50여 명으로 구성된 싱크탱크다. 정부는 앞으로 이들의 의견을 수렴해 3기 신도시 건설을 추진하게 된다.

이날 조응래 경기연구원 선임 연구위원은 발제문을 통해 “1ㆍ2기 신도시의 경우 개발에 상응한 일자리가 없어 서울로 장거리 출퇴근이 시작되면서 광역 교통문제가 나타났다”며 “신도시가 당초 자족도시를 목표로 추진했지만 산업입지 계획이 뒷받침되지 않아 ‘베드타운’화 문제가 발생했다”고 설명했다.

조 연구위원은 이어 아파트 단지의 입주가 6년 지나고서 시작된 데 비해 도로·철도 건설은 10년이상 걸리면서 신도시 입주자들은 교통망이 갖춰질 때까지 엄청난 교통 불편을 겪게 됐다고 강조했다.

3기 신도시 역시 도로 및 철도 등 교통대책이 지연되거나 차질을 빚는다면, 심각한 교통난과 베드타운 화를 피할 수 없다는 진단이다.

따라서 조 연구위원은 3기 신도시는 자족기능 강화 및 차별화된 일자리 계획을 수립, 추진하는 동시에 입주 초기부터 교통불편 해소를 위한 광역버스 중심의 교통체계 구축이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광역교통개선대책 상 개별 사업에 대해 일일이 예비타당성 제도를 시행한 것도 1ㆍ2기 신도시 교통 인프라 지연의 요인으로 지목됐다. 그러나 3기 신도시의 경우 현재까지 공개된 광역교통대책이 순조롭게 추진되면 서울 출퇴근 등에 큰 문제가 없을 것으로 조 연구위원은 분석했다.

이와 함께 이날 포럼에서 김영욱 세종대 건축학과 교수는 “택지개발 기획 단계부터 도시건축 통합 계획을 수립하고 이를 지구계획과 건축설계까지 일관성 있게 적용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김규철 국토부 공공주택추진단장은 “신도시 포럼을 통해 신규택지가 교통이 편리한 자족도시, 친환경·스마트도시, 기존 도시와 상생하고 지역발전을 견인하는 도시가 되도록 계획할 것”이라고 말했다. 여승구ㆍ김해령기자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