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항 신국제여객부두 운영사 재입찰 1개 업체 참여, ‘수의계약 대상자 선정’

오는 12월 개장을 앞둔 인천항 신국제여객터미널 부두 운영사 선정이 속도를 내고 있다.

27일 인천항만공사(IPA)에 따르면 이날 신국제여객터미널 부두 운영사 선정 입찰 재공고를 마감한 결과, 영진공사를 주간회사로 하는 1개 컨소시엄이 참여했다.

이 컨소시엄 업체로는 기존 인천항 카페리 하역사인 영진공사·선광·동방·우련통운 등 4개 업체로 구성돼 있다.

IPA는 7월 1일 7인의 평가위원들의 심사를 거쳐 기준 점수(60점)를 넘으면 해당 컨소시엄을 수의계약 대상으로 선정할 계획이다.

수의계약 대상으로 선정되면 7월 3일부터 2주간에 걸쳐 상호 간 협상을 통해 계약에 들어간다.

앞서 기존 인천항 카페리 하역사인 영진공사 등 4개 업체는 공사 측이 수의계약 대신 입찰 방식을 택한 것에 대해 반발하며 법적 대응까지 검토했고, 지난 17일 마감한 운영사 사업계획서 접수는 신청업체가 없어 유찰되는 등 난항을 겪어왔다.

하지만, 이번 입찰에서 기존 업체들로 구성된 컨소시엄이 참여한데다 수의계약 형태로 진행하게 돼 터미널이 올해 개장할 수 있을지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IPA관계자는 “1개 컨소시엄만 입찰에 참여해 수의계약 형태로 가지만, 평가위원을 통해 철저하게 적합성 여부를 판단하고 협의 과정도 진행하겠다”며 “계약이 이뤄지면 신국제여객터미널이 올 12월에 개장할 수 있을 것으로 본다”고 말했다.

한편, 인천항 신국제여객터미널은 기존의 제1·2 국제여객터미널에 나뉘어 있는 한중카페리 10개 노선을 통합 운항한다.

신국제여객터미널 부두 운영사는 22만5천㎡를 30년간 임대해 컨테이너 장치장 등 화물처리 지원시설을 설치·운영하게 된다.

이민수기자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