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교 비정규직 총파업 초읽기… 급식·돌봄 ‘발등의 불’

도내 조리·행정실무사 등 3만9천여명… 3~5일 파업 대거 참여
학부모 “교육당국, 단축수업 추진… 애꿎은 학생들만 피해”
道교육청 “대체 급식 제공·학교별 대책 안내 등 피해 최소화”

학교 비정규직 근로자들의 총파업 예고로 경기지역 돌봄교실과 학교급식에 비상이 걸렸다. 비정규직 근로자 상당수를 차지하는 급식실 조리 종사자들이 총파업에 대거 참여할 것으로 보여 상당수 학교가 급식을 중단하거나, 빵·우유 등으로 대체하는 등 차질이 불가피해 학부모들의 걱정이 이만저만이 아니다.

1일 경기도교육청에 따르면 학교 비정규직 근로자는 3만9천여 명(2018년 4월 기준)으로 조리 실무사가 1만2천여 명으로 많고, 이어 행정실무사 8천여 명, 조리사 2천여 명, 초등보육 전담사 1천700여 명, 유치원 방과 후 전담사 1천600여 명, 영양사 1천300여 명으로 집계됐다. 이번 파업에는 학교 비정규직 근로자 상당수를 차지하는 급식조리원ㆍ돌봄 전담사ㆍ교무행정사 등 종사자들이 포함돼 있어 급식대란과 돌봄공백 등 차질이 빚어질 가능성이 크다.

이에 학부모들은 애꿎은 학생들이 왜 피해를 봐야 하느냐며 불만을 토로하고 있다.

초등학생 자녀를 둔 A씨는 “학교 비정규근로자들의 열악한 처우 개선을 위해 파업을 하는 것은 이해하지만, 학교에서 단축수업을 한다고 하는데 학교와 교육청은 학부모한테 책임을 전과시키는 것”이라고 지적했다.

중ㆍ고등학교 3학년·1학년 자녀를 둔 학부모 B씨는 “파업을 앞두고 자녀에게 도시락을 따로 챙겨줘야 할지 답답하다”며 “어른들 문제에 학생과 학부모들의 피해가 가중돼 속상하다”고 토로했다.

도교육청은 이번 총파업이 지난 2017년과 비슷한 규모이거나 참가자가 다소 늘 것으로 보고 각급 학교에는 상황반과 대책처리반을 설치해 학생ㆍ학부모 피해 및 교육 활동과 교육행정 지장을 최소화하는 데 집중하고 있다.

우선 급식파업 대책 메뉴얼에 따라 교내 급실조리실무사 파업 참여율이 20% 미만일 경우 간단하게 조리 가능한 간편 조리식으로 급식 메뉴를 대체하고, 50% 이상일 경우 빵, 떡, 우유, 도시락 등 급식대용품을 제공하도록 하고 있다. 메뉴, 가격 등 세부사항에 대해서는 학교운영위원회와 협의를 통해 결정하도록 하고 있다.

도교육청 관계자는 “파업 참가자들이 2년 전에 비해 많을 것으로 예상하고 있어 최대한 학교별로 방안을 안내하고 있다”며 “돌봄교실의 경우 운영에 차질이 없도록 운영에 차질 없도록 대책 마련을 하고 있다”고 말했다.

한편, 학교 비정규직 근로자들은 총파업 첫날인 3일 서울 광화문 광장에서, 4∼5일에는 경기도교육청과 도내 25개 지역교육지원청 앞에서 총파업투쟁을 이어갈 계획이다. 정확한 총파업 참여 규모 등은 파업 전날 발표하기로 했다.

설소영기자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