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바른미래당, "인천 붉은 수돗물 정부 대응 무책임"

한국당, "추경에 수돗물 관련 예산 담을 것"

자유한국당 나경원 원내대표가 2일 국회에서 열린 당 정책위원회 주최 붉은 수돗물 사태 토론회 ‘국민은 불안합니다’에서 발언하고 있다. 연합뉴스
자유한국당 나경원 원내대표가 2일 국회에서 열린 당 정책위원회 주최 붉은 수돗물 사태 토론회 ‘국민은 불안합니다’에서 발언하고 있다. 연합뉴스

자유한국당과 바른미래당은 2일 각각 ‘인천 붉은 수돗물 사태’ 관련 토론회를 개최하고, 정부의 무책임한 대응을 집중 공략하는 등 정부·여당에 대한 공세를 한층 강화했다.

한국당은 붉은 수돗물 관련 미흡한 대처를 이슈화하면서도, 수돗물 관련 예산을 추가경정예산안에 포함하는 방안을 제시하는 등 등 민심 잡기에 주력했다.

정용기 정책위의장은 이날 국회에서 당 정책위원회 주최로 열린 ‘붉은 수돗물 사태 토론회-국민은 불안합니다’에서 “문재인 정권은 사회간접자본(SOC) 투자와 관련한 것도 오로지 총선만 생각한다”며 “한국당은 생명 안전 우선 인프라 뉴딜을 추진하고 총선공약에도 담겠다”고 밝혔다.

나경원 원내대표도 “붉은 수돗물 사태가 34일째에 접어들었지만, 아직 누구도 수돗물을 안심하고 다시 사용하기 어려운 상황”이라면서 “인천에서 시작해 서울과 부산, 김포 등에서 붉은 수돗물이 나오면서 공포와 불안이 확산되고 있다. 하지만 정부의 대응을 보면 무책임하고 무심하다”고 비판했다.

이날 토론회서 발제자로 나선 조원철 연세대 명예교수 역시 정부의 미흡한 대처를 꼬집었다.

조 명예교수는 “공무원들은 수돗물 관련 자리에서 1~2년가량만 견디고 옆자리로 옮기면 그만”이라며 “공직사회가 자기 책임을 다하지 못하는 근본적인 문제를 의원들이 바로잡아야 한다”고 지적했다.

최계운 인천대 교수도 토론을 통해 “환경부는 수돗물 공급 목표를 ‘깨끗한 수돗물’에서 ‘건강한 수돗물’로 바꾸고 선진 물관리 기법인 ‘스마트워터그리드’ 기술을 적극 도입해야 한다”고 제언했다.

바른미래당 역시 이날 오후 국회 의원회관에서 당 정책위원회와 국회물포럼 등의 공동 주최로 ‘붉은 수돗물 사태 긴급토론회’를 개최하고, 정부의 대응 실책을 공략했다.

오신환 원내대표는 “인천뿐 아니라 전국적으로 붉은 수돗물 사태의 의미가 크다”며 “정부도 이 부분에 대한 책임을 면하기 어렵다. 눈앞에 보이는 것에 집착하다 보니 땅에 묻힌 상하 수도관에 대한 예산 집행 등에 소홀했던 것”이라고 지적했다.

토론회를 주관한 주승용 국회부의장도 “붉은 수돗물 사태는 최초 인천시가 매뉴얼을 제대로 숙지하지 않고 단수 조치 등을 미흡하게 해 발생한 ‘인재’”라고 비난했다.

채이배 정책위의장은 “정부는 국민 생명과 안전에 직결된 수돗물 안전을 외면하고 방치했다”며 “환경부 예산을 심사하며 노후한 상수도관을 보수하고 교체해 나갈 수 있도록 하겠다”고 약속했다.

발제를 맡은 최승일 고려대 교수는 “예산심의 시 환경부의 유지관리 예산을 늘리고, 국회 국정감사 주요 의제로 불량시설의 유지관리 실태를 파악할 필요가 있다”고 지적했다. 김재민·정금민기자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