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가 환경 정책사업을 통합 관리하기 위해 별도의 산하기관 설립을 준비한(본보 5월 16일 자 1면) 가운데 ‘깨끗한 경기도’ 조성의 컨트롤타워를 맡을 경기환경진흥원이 내년 하반기 문을 열 전망이다.
도는 2일 경기환경진흥원(가칭) 설립을 위한 ‘타당성 검토용역 착수보고회’를 개최했다. 이날 보고회에서는 타당성 연구 용역수행 추진일정 및 수행방안, 용역수행에 필요한 자료 및 절차 협의 등에 대한 논의가 이뤄졌다. 도는 5개월간 연구용역을 거치고, 결과에 따라 행안부 승인과 도의회 최종 심의를 거쳐 설립 여부를 결정할 방침이다. 출범 시기는 내년 하반기로 내다보고 있다.
앞서 도는 미세먼지, 폐기물, 생활환경 안전 등 환경 수요의 증대에도 이를 효과적으로 뒷받침할 집행기관이 부재하면서 별도 기관 설립을 준비한 바 있다. 특히 환경 관련 사업 대부분을 외부 기관에 위탁 운영하면서 전문성 확보 및 예산 절감에 대한 우려도 제기됐다. 이에 따라 도는 환경사업의 연계와 통합화, 전문화, 효율화 등을 통해 공공성, 경제성, 환경성, 전문성을 동시에 달성할 수 있는 전담기관 설립을 위해 산하기관 형태로 경기환경진흥원 설립을 추진하기로 했다.
경기환경진흥원 설립시 도의 환경ㆍ에너지ㆍ녹지 분야 사업을 중점적으로 수행할 예정이다. 또 기존의 도 산하기관에서 진행 중이던 환경ㆍ신재생에너지관련 사업도 일부 이관될 가능성 있다.
도 관계자는 “5개월간 연구 용역이 끝난 후 행안부 승인과 도의회 심의 작업이 진행될 것”이라며 “예정대로 진행된다면 내년 하반기 경기환경진흥원이 출범할 수 있을 것”이라고 밝혔다.
한편 지난 3월 열린 1차 협의에서 행안부는 도에 타당성 연구 용역의 안정적인 재원확보 방안, 조직 및 인력 운영 방안, 기존 출연기관 인력 조정 등을 고려하라고 주문한 바 있다.
김해령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