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전을 위해 시행하는 버스기사의 주 52시간 근무제로 ‘초보 버스기사’ 증가해 교통사고가 2배나 늘어났는데 승객 안전은 누가 책임지나요”
경기도 내 A 버스업체는 최근 급증하는 교통사고 문제를 처리하느라 골머리를 앓고 있다. 주 52시간 근무제를 시행하고 있는 정부 방침에 맞춰 올해 급하게 운전 경력이 짧은 버스기사 100여 명을 채용하다보니 교통사고가 크게 늘어났기 때문이다.
A 버스업체의 경우 올해 240여 건의 가해사고가 발생, 지난해 같은 기간 120여 건보다 2배가량 늘었다. B 버스업체 역시 상황은 비슷하다. B 버스업체에서는 최근 입사한 버스기사가 급정차해 승객이 넘어지는 등 운전 미숙으로 인한 사고가 자주 발생하고 있다. 이 업체는 올해 발생한 교통사고 수가 지난해 같은 기간과 비교했을 때 20%가량 늘어난 것으로 보고 있다.
최근 버스업계에 ‘초보 버스기사’가 대거 유입되면서 사고 발생이 증가해 승객들의 안전이 위협받고 있다.
2일 경기도와 버스업계 등에 따르면 도내 300인 이상 버스업체들은 주 52시간 근무제 시행에 따라 10월부터 1천여 명의 버스기사를 채용해야 하는 상황이다. 이에 경기도는 버스기사 채용박람회를 개최하는 등 버스기사 확보에 발 벗고 나섰다. 앞서 도는 지난달 21일 수원시에서 버스기사 채용박람회를 열고 400여 명에 대한 채용 절차를 진행 중이다. 또 10월 전까지 2∼3차례의 채용박람회를 추가로 열 계획이다.
그러나 정부 방침에 따르기 위해 급하게 추진되고 있는 이 같은 대규모 채용이 오히려 버스를 이용하는 승객들의 안전을 위협하고 있다는 지적이 나온다.
짧은 기간 안에 많은 인원의 기사를 뽑아야 하는 탓에 대부분의 버스업체들이 채용 기준을 낮추다 보니 사고가 증가하는 등 문제가 발생하고 있기 때문이다.
실제로 버스업계에 따르면 현재 도내 버스업체에서는 그동안 1~2년차 유경험자들을 위주로 채용했지만 요즘은 대형 운전면허만 갖고 있으며 뽑는 식으로 채용이 이뤄지고 있다. 이처럼 경력이 짧은 ‘초보 버스기사’의 증가는 자연스럽게 사고 발생 증가로 이어지고 있다. 특히 현재 버스기사 충원이 전부 다 이뤄지지 않았다는 점을 고려하면, 이 같은 현상은 향후 더욱 심화될 전망이다.
이에 경기도 관계자는 “안전 문제가 우려되지 않는 것은 아니지만, 버스 노선 폐지 등의 문제를 막기 위해서는 어쩔 수 없는 상황”이라며 “버스업계와 지속적으로 소통하는 한편 경기도 자체 양성교육을 활성화하는 등의 노력을 통해 관련 문제를 해소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김태희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