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른미래당 손학규·민주평화당 정동영·정의당 이정미 대표는 2일 더불어민주당을 향해 국회 정치개혁특별위원회 위원장을 맡아 연동형 비례대표제를 골간으로 한 공직선거법 개정안을 처리하라고 요구했다.
야 3당 대표는 이날 오전 국회 정론관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민주당은 여야4당의 공조로 만들어온 선거제도 개혁을 책임 있게 완수하고자 하는 의지와 방도를 밝히기 바란다”며 “그 의지의 출발점은 정개특위 위원장을 민주당이 맡아서 책임 있게 운영하는 것이다”고 밝혔다.
이들은 이어 “민주당은 8월 말까지로 연장된 정개특위 활동기간이 종료되기 전에 연동형 비례대표제 선거법안의 처리를 마무리해야 한다”면서 “자유한국당의 교묘한 시간 끌기에 휘둘려서 허송세월을 보내서는 안 될 것이다. 이에 대해 민주당의 분명한 입장을 밝힐 것을 요구한다”고 덧붙였다.
또한 이들은 “지난 6월 28일 민주당은 정치개혁특위 심상정 위원장(정의당, 고양갑)을 교체하라는 한국당의 집요한 떼쓰기에 굴복하고 말았다”며 “만약 이번 합의로 정치개혁 논의의 주도권이 반개혁 세력인 한국당에 넘어간다면 선거제도 개혁은 한 순간에 물거품으로 사라지고 말 것이다”고 주장했다.
민주평화당 정동영 대표는 회견 후 기자들과 만나 “민주당이 정개특위 위원장을 한국당에 넘겨준다면 그것은 더이상 야 3당의 협조를 구하기 어려울 것이고 공조 파탄으로 이어질 것”이라면서 “그것은 ‘개혁 포기’를 넘어서 ‘개혁 파탄’ 정권이라는 비판에 직면할 것”이라고 경고했다.
한편 바른미래당 오신환 원내대표는 야 3당 대표 기자회견 전에 열린 원내대책회의에서 손 대표에게 기자회견 취소를 요구하며, “모두가 다 인정하다시피 한국당과 함께 선거제도 개혁을 이뤄내기 위해서 합의를 이뤄내지 않으면 결과적으로 선거제도가 개혁되지 못한다”고 지적했다.
오 원내대표는 이어 “합의를 도출하기 위한 대상으로 봐야할 것이지, 한국당을 배제의 대상으로 놓고는 결코 우리들이 원하는 선거제도, 사법개혁을 이뤄낼 수 없다”면서 “그런 측면에서 (손 대표가) 바라보는 시각과 방향성이 잘못됐다”고 주장, 엇박자를 내기도 했다. 김재민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