타당성 검토 용역 발주 계획
인천시가 청라 소각장 증설을 포함한 제3의 장소에 소각장을 신설하는 방안까지 검토하고 나섰다. 당장 소각장 확충이 시급하다는 것이 이유다.
3일 시에 따르면 조만간 송도·청라 소각장 이외에 지역 내 1~2개의 광역소각장 추가 조성을 위한 부지를 선정하는 내용을 담은 타당성 검토 용역을 발주할 계획이다. 용역기간은 1년이며, 용역비는 8억원이다.
이 용역에는 지난 2015년 내구연한이 끝난 청라소각장도 검토 대상에 포함된다. 청라소각장의 개보수나 현재 부지 내 신설 등 청라 소각장 현대화 방안에 대한 장단점 분석과, 이에 따른 증설 및 이전·폐쇄 내용까지 담는다.
시는 최근 이 같은 내용을 클린서구위원회와 청라자연환경시설 분과 위원회 등에서 논의했다. 시는 2019년 말 용역 중간 결과를 토대로 공청회 등을 열어 주민들의 의견을 들을 예정이다.
시는 당초 청라소각장 증설을 검토하다 주민 반발에 부딪히자, 아예 소각장 신설 카드까지 내놓고 종합적인 검토에 나선 것이다. 시설 노후화로 소각률이 기준치를 밑돌면서, 소각되지 못한 생활쓰레기의 직매립량만 증가하고 있기 때문이다.
현재 청라·송도 광역 소각장은 시설 노후화로 1일 소각용량(500t)보다 낮은 평균 438t(청라 387t, 송도 489t)만 처리하고 있다. 이로인해 매일 350t의 생활쓰레기가 직매립되고 있다. 2018년 인천의 직매립량은 10만6천t으로 당초 시의 목표량(7만7천t)보다 높다. 2016년과 2017년 직매립량(220t, 251t)과 비교하면 인천의 직매립량은 지속 증가 추세다.
시 관계자는 “이미 소각장 가동률이 100%에 육박하는데도 많은 양의 쓰레기가 매립되고 있어 소각장 증설 및 신설이 필요하다”면서 “청라 소각장 증설을 전제하지 않고 소각장 이전 및 새로운 소각장 신설 방안까지 모두 열어놓고 타당성 용역을 벌이겠다”고 말했다.
이승욱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