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옹녀’가 주체성을 가지고 당차게 살아가는 여성으로 재해석돼 무대에 오른다. 국립창극단의 창극 <변강쇠 점 찍고 옹녀>가 오는 19~20일 성남아트센터 오페라하우스에서 공연된다.
창극의 새로운 역사를 썼다는 평가를 받은 이 작품은 2014년 초연부터 창극 최초로 관람연령 제한, 최초 장기공연 도전, 창극 최초 차범석 희곡상 뮤지컬 극본상 등을 받으며 화제에 올랐다. 지난 2016년에는 창극 최초로 프랑스 파리의 ‘테아트르 드 라 빌’에 올라 프랑스 관객에게도 기립박수를 받는 등 흥행성과 작품성을 모두 갖췄다.
제목에서 알 수 있듯 작품은 기존의 변강쇠전을 뒤집어 옹녀를 주인공으로 내세웠다. 그동안 옹녀는 B급 에로영화물에 자주 등장하며 음란한 여성으로만 묘사됐다. 대본과 연출을 맡은 고선웅은 그동안 유희적 성을 즐기는 여성으로 왜곡됐던 옹녀 대신 박복하지만, 누구보다 당차게 살아가는 진짜 옹녀의 모습을 찾아 그렸다. 당시 남성 중심 사회에서 기구한 인생에 휘둘리는 여인이 아닌, 남편에게 의존하지 않고 스스로 자신의 운명을 개척해 나가는 당찬 여성이다. 그녀의 모습은 적극적으로 자신의 인생을 걸어가는 이 시대 모든 여성의 모습을 투영한다. 옹녀가 저마다 사연을 지닌 전국 방방곡곡의 장승들과 민초들을 만나면서 조화와 화해를 향한 분쟁을 조정하고, 생명을 잉태해 돌보며 희망을 구현하는 여성으로 변하는 과정은 관객에게 유쾌하고 통쾌한 에너지를 전한다.
적재적소에 배치된 음악은 <변강쇠 점 찍고 옹녀>가 장기간 사랑받은 이유로 중 하나로 꼽힌다. 작창과 작곡, 음악감독을 맡은 소리꾼 한승석(중앙대학 전통예술학부 교수)은 판소리와 민요, 정가와 비나리에서 가요까지 다양한 음악을 배치해 뮤지컬 무대와는 또 다른 한국적 흥겨움을 확실히 살렸다.
성남문화재단 관계자는 “인간미 넘치는 이야기, 코믹함과 섹슈얼리티가 조화를 이뤘다”며 “자칫 전통예술은 지루하다는 선입견을 갖기 쉬운 관객들에게 창극이 가진 다양한 매력에서 헤어나오기 어려운 시간을 선사할 것”이라고 말했다. 관람료 R석 4만원, S석 2만원.
정자연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