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항만공사(IPA)의 인천항 제1국제여객터미널 청사 매각 계획과 관련, 매각보다는 중부해양경찰청사 등의 용도로 활용해야 한다는 주장이 나왔다.
이귀복 인천항 발전협의회 회장은 지난 12일 인천문화예술회관에서 열린 ‘해양자치주권 및 연안여객 발전방안 토론회’에서 “미래의 인천 연안여객터미널은 현 연안여객터미널의 잔교와 제1국제여객터미널 접안시설 3개 및 그 부속부지를 확장해 사용해야 한다”고 밝혔다.
이어 “IPA는 제1국제여객터미널 부지 일부 매각계획을 철회하고, 중부해경청을 유치하거나 다른 용도로 써야 한다”고 덧붙였다.
또 “증가 추세인 인천~제주 카페리와 서해안 카페리는 화물처리를 위한 야적장 등 공간이 필요해 현 제1국제여객터미널 접안시설 및 부속부지의 사용이 필수적이다”라며 “IPA가 제1국제여객부두 부지를 매각하면 앞으로 제1국제여객터미널 부두에 접안하는 선박이 사용할 부속부지가 없어지게 된다”고 강조했다.
제1국제여객터미널과 남북여객터미널을 국내여객터미널로 통합해 남북 여객선 및 카페리 선박 접안용으로 활용해야 한다는 주장도 나왔다.
이날 발제에 나선 최정철 인하대 공과대학 융합기술경영학부 교수는 “연안여객 노선이 대형화하고 취항 횟수가 느는 만큼, 이에 대비한 터미널 확보가 필요하다”며 “IPA가 국제여객터미널 부지 매각을 중지할 수 없다면 인천시나 옹진군이 매입해 국내여객터미널을 운영하는 방안도 고려돼야 할 것”이라고 했다.
앞서 IPA는 2015년 6월부터 인천지방해양수산청, 인천시, 중구, 내항 재개발 비상대책위원회 등과 4년여 간에 걸쳐 인천항 신국제여객터미널 개장에 따라 문을 닫는 제1국제여객터미널 활용 방안을 마련했다.
하지만, 이 방안에 대해 옹진군과 지역 일부 시민단체가 연안여객터미널이 노후화했다며 제1국제여객터미널을 매각하지 말고 연안여객터미널로 전환할 것을 요구하고 있다.
이민수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