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간강사 대량해고 막아라”…경기지역 대학서도 시간강사 노조 설립 움직임

정부의 대학시간강사법 추진에 따른 시간강사 대량해고 사태가 현실화된 가운데 경기지역 대학가에서 시간강사들의 노동조합 설립을 추진하는 움직임이 일고 있다.

14일 전국민주노동조합총연맹 한국비정규교수노동조합에 따르면 현재 경기지역에서는 2곳의 대학에서 노동조합 설립을 준비 중이다. 대학 시간강사 노조가 설립된 대학은 전국적으로 경북대와 영남대, 성공회대 등 10곳으로, 성균관대를 제외하면 경기지역 대학은 속해있지 않은 상태다.

경기지역 대학을 포함해 전국 대학들의 이 같은 노조활동은 정부의 대학시간강사법 추진에 따른 해고 사태를 막으려는 것이다. 앞서 교육부는 대학 시간강사들의 처우 개선을 위한 대학시간강사법(1년 이상의 임용원칙과 방학 중 임금 지급 등)을 추진, 지난해 대학강사제도 개선협의회 통해 통과시켰다. 본격적인 시행은 다음 달 1일부터다.

그러나 시간강사법 시행을 앞두고 각 대학은 재정부담 등을 호소, 오히려 시간강사를 해고하는 부작용이 나타나고 있다. 실제로 대학의 1학기가 시작된 올해 초 시간강사는 교육부 추산으로만 1만4천여 명이 해고됐다. 한국비정규교수노동조합은 통계에 집계되지 못한 이들까지 포함하면 실질적으로는 이보다 많은 2만여 명이 해고된 것으로 추산하고 있다.

이처럼 대량해고 사태가 발생하면서 시간강사들의 일자리가 위협받게 되자 전국 대학의 시간강사들은 노조 등을 설립하며 맞서고 있다. 그 중 경기지역 대학에서도 현재 2곳의 대학에서 각각 20여 명의 시간강사가 모여 노조 설립 활동을 준비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노조는 준비를 마치는 대로 올해 하반기 중 공식적으로 출범할 전망이다.

김용섭 한국비정규직교수노동조합 위원장은 “시간강사법 시행에 따른 시간강사들의 대규모 해고가 현실화된 상황 속에서, 시간강사들이 자신을 지키기 위한 수단은 노동조합 밖에 남지 않았다”라며 “경기지역에서는 아직 노조 활동이 초기단계에 그치고 있지만, 대학시간강사법이 본격 시행되고 나면 이 같은 움직임은 더욱 확산할 것으로 전망한다”고 밝혔다.

 

김태희기자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