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품소재 혁신, 국가적 지원 아끼지 않을 것”… 文 대통령, 日 수출규제 속 자구책 메시지

가전·전자 등 日절대우위 추월
“전화위복 기회로 삼아야” 강조

문재인 대통령은 22일 “지금까지 우리는 가전, 전자, 반도체, 조선 등 많은 산업분야에서 일본의 절대우위를 하나씩 극복하며 추월해왔다”고 말했다.

문 대통령은 이날 청와대에서 수석보좌관회의를 주재하고 “국제분업체계 속에서 평등하고 호혜적인 무역을 지속해나가기 위해선 산업의 경쟁력 우위 확보가 필수적이란 것을 우리는 다시 한 번 인식하게 됐다”면서 “우리는 할 수 있다”고 이같이 밝혔다.

문 대통령의 이 같은 발언은 일본의 대(對)한국 소재 수출 규제 속에서 신기술의 혁신창업을 통해 산업 생태계를 재편하고자 하려는 의도로 풀이된다.

문 대통령은 이어 “자유무역질서를 훼손하는 기술패권이 국가경제를 위협하는 상황에 있어서도 신기술의 혁신창업이 중요한 해법이 될 수 있다”고 말했다.

문 대통령은 “특히 부품소재분야의 혁신산업과 기존 부품소재기업의 과감한 혁신을 더욱 촉진하고자 한다”며 “정부는 지금의 어려움을 오히려 기회로 삼아 부품소재산업의 경쟁력 강화와 제조업 혁신을 위해 국가적 차원의 모든 지원을 아끼지 않겠다”고 강조했다.

아울러 “지금까지 중소기업들이 국산화에 기술을 갖추거나 제품 개발에 성공하더라도 공급망에 참여하지 못해 사장되거나 포기하는 경우가 적지 않았다”면서 “우리 부품 소재 산업의 경쟁력 강화를 위해 정부와 대중소기업이 함께 비상한 지원 협력 체계를 갖춰야 한다”고 당부했다.

문 대통령이 한일 무역 분쟁 속에서 신기술 혁신창업을 내세운 것은 벤처분야가 빠르게 그 효과가 드러났기 때문으로 해석된다.

문 대통령은 “대외경제여건이 악화되면서 수출과 설비투자 부진으로 성장률이 하향조정되는 등 어려움을 겪는 가운데 혁신벤처투자와 창업이 빠르게 증가하고 있어 우리 경제에 희망을 주고 있다”라면 “단시일 내에 성과를 낸 것은 벤처기업인들의 신기술과 신산업에 대한 도전과 열정이 만든 결과이면서 정부가 제2벤처붐 조성 정책을 지속적으로 추진한 것도 큰 기여를 했다”고 평가했다.

문 대통령은 그러면서 “벤처시장에서 모험투자가 확대되고 있는 것은 우리 경제의 역동성을 보여주는 긍정적 신호”라며 “시가총액 1조원이 넘는 유니콘 기업 수도 1년 만에 3개에서 9개로 6개나 증가했다. 유니콘 기업 수로만 보면 세계 6위로서 매우 빠른 성장속도”라고 덧붙였다.

강해인기자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