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영준의 잇무비] '나랏말싸미', 한글 창제의 숨겨진 이야기

영화 '나랏말싸미' 포스터. 메가박스중앙(주)플러스엠
영화 '나랏말싸미' 포스터. 메가박스중앙(주)플러스엠

감독: 조철현

출연: 송강호, 박해일, 전미선 등

줄거리: 모든 것을 걸고 한글을 만든 세종과 불굴의 신념으로 함께 한 사람들, 역사가 담지 못한 한글 창제의 숨겨진 이야기를 그린 작품.

총 28자의 한글이 탄생하기까지

세종(송강호)은 중국의 각종 언어학 서적을 섭렵했지만 새 문자의 실마리를 잡지 못해 괴로워했다. 하지만 엉뚱하게도 세종은 조선이 억압했던 불교의 유산인 '팔만대장경' 안에서 단서를 잡았다. 스님 신미(박해일)를 통해 소리글자인 산스크리트어를 접하고 '소리글자'로 방향을 잡지만, 먹고 살기도 벅찬 백성이 배워서 쓰려면 무조건 쉽고 간단해야 한다는 새 문자의 원칙 앞에서 쉽게 길을 찾지 못한다. 그러나 신분의 차이를 넘어 모두가 머리를 맞대자 서서히 한글은 형태를 갖춰가기 시작했다. 불가능해 보이는 목표를 향해 마음을 합쳐 달가는 이들을 응원하듯 지켜보게 하는 '나랏말싸미' 속 한글 창제의 과정은 완성의 순간과 벅찬 감동을 전한다.

영화화 실마리가 된 '신미 스님'

한글 창제와 관련해서는 다양한 '설'이 있다. '나랏말싸미'가 선택한 이야기는 그 많은 '설' 중 실존 인물인 '신미 스님'과 관련한 것이었다. 억불정책을 가장 왕성하게 펼쳤던 임금인 세종이 죽기 전 유언으로 신미 스님에게 '우국이세 혜각존자(祐國利世 慧覺尊者)'-나라를 위하고 세상을 이롭게 한, 지혜를 깨우쳐 반열에 오른 분-이란 법호를 내렸다는 기록과 김만중의 '서포만필'에 있는 훈민정음과 불경을 기록한 문자인 범어(산스크리트어)와의 관계가 바로 그것이었다. 불교 국가인 고려를 뒤집고 유교를 국시로 창건된 새 왕조 조선의 임금인 세종이 스님과 손을 잡고 한글을 만들었다는 것은 그 자체로 드라마틱한 이야기를 품고 있었고, 영화는 역사가 미처 기록하지 못한 부분을 이야기하며 한글창제 그 이면을 전하고자 했다.

팔만대장경 실물이 등장한다고?

'나랏말싸미'가 기존 사극 장르의 영화 또는 드라마와 다른 점은 누구나 쉽게 갈 수 없는 역사적 공간들이 등장한다는 점이다. 조철현 감독은 신미 스님의 행적을 따라 전국 사찰을 돌아다녔고, 제작진은 6개월이상 문화재청의 문을 두드렸다. 그 결과 합천 해인사 장경판전부터 영주 부석사 무량수전, 안동 봉정사까지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에 등재된 문화 유적지를 한국 영화 최초로 스크린에 담아낼 수 있었다. 특히 우리나라 3대 사찰 중 하나인 해인사의 장경판전은 현재 팔만대장경판의 온전한 보존을 위해 내부 출입이 불가능한 상황. 하지만 세종과 신미가 한글 창제의 뜻을 모으는 계기를 만들어 주고, 한글 창제 과정에서도 중요한 역할을 하는 팔만대장경의 실물을 관객들은 영화에서 간접적으로 경험할 수 있게 됐다.

개봉: 7월 24일

장영준 기자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