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 직업이 경찰인지, 사회복무요원 돌봄이인지"…일선 경찰서 '계륵' 전락한 사회복무요원

“제 직업이 경찰인지, 사회복무요원 달래주는 돌봄이인지 모르겠네요”

정부가 올해 1월부터 일선 경찰서의 생활안전 및 교통 분야에 사회복무요원을 배치했지만, 약 6개월이 흐른 지금 현장에서 사회복무요원이 ‘계륵(鷄肋)’으로 전락했다는 지적이 나온다.

28일 경찰청에 따르면 정부는 지난 1월 마련한 ‘2019년 경찰청 사회복무요원 운용 및 교육 계획’에 따라 전국 경찰서에 사회복무요원 3천300여 명을 배치했다. 이들은 사회복무요원 운용 계획에 따라 오전 9시~오후 6시까지 근무하며 ▲범죄 취약지역 도보순찰 ▲학교 주변 교통안전 지도 ▲CPO(범죄예방진단) 활동 보조 ▲각종 홍보캠페인 지원 등의 업무를 수행한다.

경기남부지방경찰청에도 457명의 사회복무요원이 배정, 31개 경찰서에 10여 명씩 투입돼 근무 중이다. 그러나 약 6개월이 지난 현재 일선 경찰 대부분은 현장근무 시 오히려 사회복무요원들의 눈치를 보는 실정이라며, 이들의 업무 조정 필요성을 주장하고 있다. 함께 현장에 다녀온 사회복무요원이 불만을 품고 문제를 제기하거나 감사실, 국민신문고 등에 민원을 올리면, 사실 여부와 상관없이 결국 피해를 보는 것은 공직자인 경찰이라고 토로하는 것이다.

도내 한 경찰서 여성청소년계에 근무 중인 A씨는 “사회복무요원들과 아동범죄 취약지역 순찰이라도 나가면 ‘발이 아프다’, ‘날이 너무 덥다’ 등의 불평만 내뱉으며 휴식만 반복해서 요청해 안 데리고 나가는 게 더 효율적”이라며 “경찰청에서 그나마 현실성 있는 업무만 정해줬을 텐데, 이마저도 시키기 꺼려진다”고 분위기를 전했다.

교통관리계 소속 B씨 역시 “사회복무요원들과 현장에 나서면 뙤약볕에 오래 서 있어 어지럽다는 등 불만이 많은데, 혹여 다치거나 아프기라도 하면 사회복무요원 담당자만 추궁당할 게 뻔해 일을 시키면서 눈치를 봐야 하는 처지”라며 “사회복무요원을 의무경찰처럼 정문 근무, 청사 방호 및 관리, 방문자 안내 등에 배치하는 것이 서로 업무 효율성을 높이는 길”이라고 말했다.

경찰청 관계자는 “사회복무요원 담당 업무는 ‘사회복무요원 운용 계획’을 수립할 때 충분히 논의해 가장 적절하다고 판단돼 정해진 것”이라면서도 “일선 현장에서 지적이 나오는 만큼, 6개월가량 진행된 사회복무요원 운용결과를 살펴보고 개선방안을 검토하겠다”고 말했다. 채태병기자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