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야, 8월 1일 본회의서 추경안 처리… 오늘부터 ‘안보국회’

내달 1일 日 경제보복 철회·對 중러일 결의안도 동시 처리
3당 원내대표, 7월 임시국회 합의… 118일만에 본회의 열려

더불어민주당과 자유한국당, 바른미래당 등 여야 3당 교섭단체가 추가경정예산(추경)안 처리와 ‘안보 국회’ 개최를 각각 주고받으며 7월 임시국회 일정에 극적 합의했다. 이로써 경기 활성화를 위해 신속한 처리가 요구돼 온 추경안은 국회에 제출된 지 98일 만에 처리될 전망이다.

민주당 이인영·한국당 나경원·바른미래당 오신환 원내대표는 29일 오후 국회에서 회동한 뒤 기자회견을 열고 이 같은 내용이 담긴 합의문을 발표했다.

합의문에 따르면 여야는 30일부터 안보국회를 위한 운영·국방·외교통일·정보위원회를 열고, 최근 안보 상황 등에 대해 현안질의를 실시한다. 여야는 이날 일본의 경제 보복에 대한 대응 방안이 포함된 추경안 심의도 재개하기로 했다.

또한 여야는 다음 달 1일 본회의를 열고 추경안과 일본경제보복 철회 요구 결의안, 대 중국·러시아·일본의 영토주권 침해 결의안, 권익위원회 위원 인사 안건을 동시 처리할 방침이다. 법안 처리를 위한 본회의 개최는 지난 4월5일 이후 118일 만이다.

민주당 이 원내대표는 “조금 늦었지만 추경을 조속히 처리할 수 있는 길이 열린 데 대해 다행이라고 생각한다”면서 “국방·안보 문제도 중요하지만 일본의 수출규제 조치로 시작된 경제·안보 상황도 굉장히 급하다. 추경안이 처리되는 과정에서 우리의 경제·안보도 틈틈이 대비할 수 있는 길이 되길 바란다”고 말했다.

한국당 나 원내대표는 “저희는 추경 자체를 반대한 것이 아니라 잘못된 부분을 지적한 것”이라며 “국민에게 도움이 되는 추경이 되게 노력하고, 안보 상황에 대해 국민이 우려하는 부분에 청와대나 정부가 제대로 대응할 수 있게 주장하겠다”고 약속했다.

바른미래당 오 원내대표도 “다소 늦은 감은 있지만 어렵게 합의가 이뤄졌다”며 “추경을 꼼꼼하게 따질 예정이고 안보 상황에 대해서도 적극적으로 부족했던 부분을 채워나가며 역할을 하도록 하겠다”고 강조했다.

이런 가운데 여야가 7월 임시국회 일정에 합의한 배경에는 각 당의 손익 계산이 정교하게 깔렸다는 분석이 나오고 있다. 20대 국회가 ‘최악의 국회’라는 오명을 쓸 위기에 처한 가운데 민주당은 추경안을 처리할 수 있는 실시를, 한국당은 ‘국정 발목 잡기’ 논란에서 벗어날 수 있는 계기를 각각 마련했다는 평가다.

특히 한국당은 7월 임시국회 일정 협상 과정에서 추경안과 연계해 요구해왔던 정경두 국방부 장관 해임안과 북한 목선 관련 국정조사를 당분간 보류하는 등 한발 물러서는 태도를 취하기도 했다.

이 원내대표는 “한국당과 바른미래당 측에서 정 장관 해임안 등을 철회한 것으로 봐도 될 것 같다”며 “늦었지만 (합의가 돼) 다행”이라고 말했다.

나 원내대표는 “정 장관 해임 결의안 등은 잠시 보류된 것으로 보면 된다”면서도 “안보가 이처럼 어려운데도 국방·운영위를 여는 데 대해 조건을 걸어온 여당의 무책임한 태도는 안타깝게 생각한다”고 밝혔다. 송우일·정금민기자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