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당, 中企 현장에서 최고위원회의 “경제정책 대전환” 촉구

자유한국당은 5일 시흥 한국금형기술교육원에서 현장 최고위원회의를 열고, 일본의 수출규제 조치로 피해를 입은 금형산업 중소기업인들의 고충과 건의사항을 들었다.

한국당이 현장 최고위를 개최한 것은 지난 5월 23일 산불피해지역인 강원 고성에서 개최한 이후 75일 만이다.

이날 회의에는 황교안 대표와 나경원 원내대표를 비롯한 당 지도부, 정진석 일본수출규제특위 위원장, 이종구 국회 산자중기위원장 등이 참석했다.

황 대표는 “이 자리에 금형관련 기업인 여러분들이 많이 참석했는데 수치 제어 기계 70% 이상 거의 90% 가까이 일본산이라고 들었다”며 “그런 일본의 수출규제 품목에 수치 제어기가 포함되면서 정말 심각한 걱정들을 하고 있는 것으로 알고 있다”고 위로했다.

그는 이어 “일본의 수출규제는 부당한 것이다. 우리가 맞서서 이겨내야 한다. 그 과정에서 우리 기업들을 반드시 보호하고 지켜내야 한다”면서 “그러나 기업들이 버텨낼 수 있는 실질적인 지원책을 내놓지 못하면서 싸워서 이기자고 말만 하면 무슨 소용이 있겠는가”라고 현 정권을 겨냥했다.

특히 그는 “우리 기업들이 당면한 여러 어려움들을 해소하고 또 장기적으로 경쟁력을 강화하기 위해서도 경제정책의 대전환이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아울러 “정부에서 추경도 신속하게 집행하고 또 금융지원도 하고 내년부터 부품소재 등의 예산도 1조원 이상 투입한다고 했다”며 “하지만 근본적으로 경제정책을 전환하지 않고서는 결국 ‘밑 빠진 독에 물 붓기’에 지나지 않게 될 것이다”고 지적했다.

김광림 최고위원은 “한국당이 만들고 있는 경제대전환, 대전환의 기본적인 생각은 국가중심에서 기업중심으로 확 바꾸는 것이다 ”면서 “절대로 경제를 정치프레임으로 가져가서는 안된다는 것이 한국당의 입장이다”고 강조했다.

한편 황 대표는 페이스북에 “나라가 너무 어렵다. 위태롭기 그지없다. 어쩌다 이 지경이 됐는지, 답답하다. 문재인 정권은 제대로 된 해법을 내놓지 못하고 있다”고 비판하며 “한국당은 계속 현장을 다니며 민의를 듣고, 위기를 극복할 수 있는 실질적인 대책을 제시하도록 하겠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그는 “죽을 힘을 다해, 대한민국을 지키고 국민을 책임지겠다”고 피력했다. 김재민기자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