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의회가 한국을 화이트리스트(수출절차 간소화 국가)에서 제외하는 등 일본의 경제보복에 맞서 각종 대응책을 마련하는 등 ‘극일’(克日) 드라이브를 걸었다. 도의회는 관련 TF팀 구성에 이어 ‘친일잔재청산특별위원회’를 구성하고, 경기도 집행부와 협의해 8월 회기에 3회 추가경정예산을 편성, 피해 기업 지원 등에 나설 계획이다.
8일 도의회에 따르면 도의회 민주당은 최근 도 집행부와 지속적인 논의를 통해 일본 경제보복으로 인한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한 재원을 제3회 추경을 통해 확보하기로 했다. 3회 추경은 수백억 원 규모며, 추경안은 오는 26일부터 열리는 제338회 임시회에서 심의될 전망이다.
도의회 민주당은 앞서 지난 2회 추경 심의 당시 일본 경제보복 관련 예산 규모를 대략 검토한 바 있다. 지난해 삭감된 도 예산을 유보금으로 전환, 현재 900억 원가량 확보돼 있어 충분히 추경 편성이 가능한 것으로 도의회는 파악했다. 또 3회 추경에는 경제분야 예산과 함께 최근 발생한 안성 종이상자 공장 화재에 따른 안전 관련 예산 등이 포함될 예정이다.
이런 가운데 최종적인 결정은 도와 도의회가 실무협의를 어느 정도 마친 만큼 이재명 도지사가 최종 결정 시 빠르면 8월 회기에 편성 심의가 이뤄질 것으로 보인다.
이와 함께 도의회는 과거사나 현재 남아있는 관습 및 문화 등 일본의 잔재를 청산하는 친일잔재청산특별위원회 구성을 전국 최초로 시도한다. 도의회는 조만간 이와 관련, 친일잔재청산특위 구성의 건을 발의하고, 김경호 의원(더불어민주당ㆍ가평)을 중심으로 특위 추진이 이뤄질 전망이다.
아울러 도의회는 무심코 사용하는 일본 제품이 없도록 도의회 내 일본 제품에 대한 전수조사도 추진할 계획이다.
앞서 도의회는 지난 6일 일본 조치에 대응해 도의회 차원에서 추진할 4대 대책으로 ▲정부의 대응 전략에 부응할 TF 및 특별위원회 구성 ▲첨단 부품소재산업 관련 조례 우선 제정 ▲긴급한 경제 분야 예산편성 적극 동참 ▲도의회 평화의 소녀상을 중심으로 한 역사교육 실시 등을 추진하겠다고 밝힌 바 있다.
도의회 염종현 민주당 대표(부천1)는 “일본 경제보복 피해가 긴급 사안인 만큼 3회 추경을 편성하는 방향으로 가닥을 잡았다. 이를 통해 중소기업 지원과 소재산업의 국산화 활로 확보 등에 재원이 투입될 수 있을 것”이라며 “친일잔재청산특위로 도내 전반에 숨어 있는 친일의 흔적을 지우는 데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최현호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