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보자들' 어느 상조회사의 배신

'제보자들'에서는 상조업체의 꼼수와 선불식 할부거래법의 빈틈을 추적한다. KBS 2TV
'제보자들'에서는 상조업체의 꼼수와 선불식 할부거래법의 빈틈을 추적한다. KBS 2TV

'제보자들'에서는 상조업체의 꼼수와 선불식 할부거래법의 빈틈을 추적한다.

8일 방송되는 KBS 2TV '제보자들'에서는 상조업체의 꼼수와 13마리 개와 사는 81세 할머니의 기막힌 사연이 공개된다.

지난 3월, 누적 가입자 5만 4천여 명 선수금 700억에 육박하는 'A 상조업체'가 폐업했다. 그리고 '제보자들'에 도착한 한 통의 제보. A 업체의 전 직원이라고 밝힌 김진모(가명) 씨는 '회사가 고의로 폐업했다'는 의혹을 제기했다.

이진남(79) 씨는 13년 전, A 업체의 상조(장례)상품에 가입했다. 어려운 형편에 자식들에게 짐이 되지 않기 위해 상조상품에 가입했다는 이 씨. 지난해 개인 사정으로 A 업체에 만기 환급금을 요구했지만, 업체 측은 지연이자를 얹어 주겠다며 환급금 지급을 차일피일 끌었다고 한다. 그런데, A 업체가 폐업했다는 청천벽력과 같은 소식이 전해졌다.

제보자가 A 상조업체와 같은 회사라고 주장하는 'B 투어'는 매월 일정 금액을 적립해 목돈의 부담을 줄여준다는 '적립식 여행상품'을 판매했다.

타인 양도가 가능하고 여행을 가지 않아도 현금으로 100% 환급받을 수 있어 가입 고객만 무려 8만여 명이었다는데 지난 2016년, 이영수(가명)씨 부부는 칠순기념 크루즈 여행 상품에 가입했다.

평생 한 번뿐인 해외여행을 꿈꾸며 일용직, 빌딩 청소 등을 하며 매달 14만 원씩 납입했다는 부부. 만기일만 손꼽아 기다렸지만 지난 5월, 직접 찾아간 'B 투어' 사무실은 굳게 닫힌 상태였다.

더욱 기막힌 사실은 A 상조업체 피해자는 할부거래에 관한 법률에 따라 납부금 중 50%를 보상받을 수 있지만, 적립식 여행상품은 이에 해당하지 않는다는 것이다. 사실상 B 투어 피해자의 피해구제 방법은 단 한 가지, 관광공제회의 영업보증금 4천만 원을 1/N로 나누어 보상받는 것이라고 한다.

A 상조업체의 전 직원들은 A 업체 측의 고의적인 폐업을 주장하고 있다. A 업체가 만기 고객이 늘어나며 만기 환급금의 부담이 커지자 회사를 폐업하고 'C 상조업체'를 설립하는 일명 '치고 빠지기' 수법을 벌였다는 것.

A 업체의 한 임원진은 A 업체가 폐업한 날 'C 상조업체'의 대표이사로 취임했으며, A 업체 고객들의 개인정보를 도용해 고객의 동의 없이 C 업체로 계약을 이전한 정황이 포착됐다.

'제보자들'은 오늘(8일) 오후 8시 55분 방송된다.

장건 기자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