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진표-도내 지자체장, 일본 경제보복 대응 조찬 간담회 "장기전 대비해야"

▲ 더불어민주당 김진표 의원 페이스북

더불어민주당 김진표 의원(수원무)과 삼성전자·SK하이닉스 반도체 사업장이 있는 경기도내 기초단체장들이 12일 일본 수출규제에 따른 반도체 산업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해 머리를 맞댔다.

김 의원과 염태영 수원시장, 백군기 용인시장, 서철모 화성시장, 엄태준 이천시장, 정장선 평택시장은 이날 오전 수원 라마다 프라자호텔에서 ‘일본수출규제에 따른 반도체 사업장 입지 기초자치단체장 조찬 간담회’를 열고 일본 경제보복에 대한 대응 방안을 논의했다.

이날 조찬 간담회에서는 중앙정부의 대책과 지자체별 피해현황, 지원대책에 대한 의견과 일본 수출규제의 원인 및 향후 전망에 대한 대화가 오갔다.

민주당 부품·소재·장비·인력 발전 특별위원회 소속인 김 의원은 이날 간담회에서 “일본의 경제보복으로 촉발된 한일 경제전쟁이 간단히 끝나지 않을 것으로 보이는 만큼 장기전에 대비해야 한다”며 “피해기업에 대한 정부의 금융, 예산 지원 방안이 발표됐는데 지자체에서도 이 부분을 적극적으로 알려달라”고 당부했다.

김 의원은 또한 “반도체 사업장 입지 지역 단체장들이 모여 함께 대책을 모색한다는 게 국민과 기업에 큰 위로와 힘이 될 것”이라며 “당 부품·소재·장비·인력 발전 특위 위원으로서 조찬 간담회에서 오간 의견을 특위에 적극 전달하는 등 5개 지역 단체장들과도 긴밀하게 협의하겠다”고 힘줘 말했다.

염태영 수원시장도 페이스북을 통해 “반도체 도시가 뭉쳤다. 반도체 수출규제로 포문을 연 일본의 경제전쟁 도발, 진단에서부터 극일을 가늠하는 방향성까지 한마음 한뜻이었다”며 “이제는 주체적이고 체계적인 실행대책을 마련해야 한다”라고 강조했다.

향후 대응 방안과 관련, 염 시장은 “반도체 공장이 있는 천안, 아산, 구미까지 8개 기초지자체로 협력의 범위를 넓히겠다”며 “반도체 협력업체의 현황과 예상피해를 꼼꼼히 살펴 정리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어 “중앙정부, 국회와의 논의 테이블을 마련해 장·단기 대응방안과 실효성 있는 정책결정을 이끌어내고 지방정부 차원의 맞춤형 지원책도 준비해 나갈 것”이라고 덧붙였다.

그는 또 “막연한 불안감은 금물”이라고 강조한 뒤 “그동안 왜곡된 산업체질을 바꾸고 일본을 넘어설 전화위복의 기회다. 경제분업체계를 망가뜨린 일본을 국제사회가 지켜보고 있다”고 경고했다.

백군기 용인시장 역시 페이스북을 통해 “반도체 업계의 동향과 현장의 목소리를 중앙정부에 전달해 중앙과 지방, 민주당이 유기적 대응을 하자는 데 뜻을 모았다”며 “경기도뿐만 타 지자체와도 자리를 마련해 피해상황 및 대책을 공유하고 협력업체들에 대한 지원에 중점을 둬야 한다는 데 공감했다”고 밝혔다.

그는 그러면서 “현 시국이 국가적 중대 사안임을 인식하고 중앙정부와 민주당, 타 지자체와 긴밀하게 협조해 나가겠다”고 거듭 다짐했다.

 

이호준·송우일기자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