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가 두벌동부, 호래비밤콩 등 경기지역 향토의 기운을 물씬 품은 토종 종자를 보존ㆍ육성하기 위해 나선다.
도는 전국 최초로 ‘토종 종자은행(가칭)’을 설치할 계획이라고 13일 밝혔다.
이는 민간단체 중심의 종자 보존 움직임이 한계에 달했기 때문이다. 도내에서는 2012년부터 민간단체를 중심으로 1천746점의 토종 종자를 수집하는 보존사업이 일부 진행 중이다. 그러나 전문적인 보관ㆍ저장 시설이 없다 보니 어렵게 수집한 종자가 서로 섞이거나 분실될 위험에 놓였다. 또 토종 종자를 생산하는 도내 농업인의 절반 이상이 80대 이상이어서 대물림할 후계자가 없고, 빠른 도시화로 토종 종자의 소멸이 빨라진 점도 고려됐다.
이에 도는 평택시 오성면으로 이전한 경기도 종자관리소에 토종 종자은행을 오는 11월 개설한다. 종자 보관ㆍ저장 시설, 전시실, 검사ㆍ실험실, 육묘ㆍ증식장, 야외 체험장 등이 들어선다. 종자은행 규모는 2만 3천673㎡(대지면적 기준)이다. 부지에는 전시ㆍ연구실(235㎡), 씨앗보관실(저온저장고ㆍ100㎡), 체험장(1천200㎡), 증식ㆍ육묘장(3천960㎡) 등의 건물도 마련된다.
이와 함께 도는 민간단체, 생산농가, 농민단체, 소비자단체, 학계 전문가, 정부 관계자 등이 참여하는 민관 합동 거버넌스 협의기구로 ‘경기도 우리씨앗 네트워크’를 구성해 관련 정책을 논의한다. 도와 경기도의회는 이달 26일 거버넌스 출범식과 정책토론회를 연다. 이와 관련, 이재명 도지사는 지난 12일 확대간부회의에서 정부와의 공조 방안을 주문하기도 했다.
시민단체인 전국토종씨드림의 변현단 대표는 “회원들과 함께 전국을 다니면서 토종 종자를 수집하고 보존의 중요성을 알리는 활동을 해오면서 사라져가는 우리 씨앗에 대해 안타깝고 정부 차원의 정책이 아쉬웠는데 경기도가 발 빠르게 나서주니 너무나 다행”이라며 “경기도의 토종 종자은행은 전국적인 모범이 될 것이며, 시민단체 차원에서도 적극 동참하겠다”고 밝혔다.
박종민 경기도 종자관리소장은 “토종 종자는 우리 땅에서 오랫동안 자라온 우리의 문화이며 미래의 소중한 자원으로서 보존과 활성화에 힘써야 한다”며 “토종 종자은행은 종자 보존 역할과 함께 다양한 주체들이 활용할 수 있는 플랫폼으로 거듭날 것”이라고 말했다.
한편 도는 ‘경기도 토종농작물 보존과 육성을 위한 조례’를 2014년에 제정했다. 이어 2012년부터는 토종종자 전문 시민단체를 지원해 화성시 등 7개 시ㆍ군에서 1천700여 점의 토종종자를 수집, 시민단체를 통해 보존 중이다.
여승구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