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경희 도의원, “강제동원 피해 여성근로자 실태 심각…지원책 마련해야”

▲ 강제동원(김경희 의원)

김경희 경기도의원(더불어민주당ㆍ고양6)이 위안부 문제보다 관심을 받지 못해왔던 강제동원 피해 여성근로자 실태 파악과 지원이 절실하다고 강조했다.

김 의원은 14일 도의회 브리핑룸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지난 2월 연구용역을 발주해 최근 완성된 ‘강제동원 피해 여성근로자’에 대한 실태조사 보고서를 소개하면서 이 같이 밝혔다.

김 의원에 따르면 이번 실태조사는 경기도에 거주하고 있는 생존자 21명 중 건강 및 개인사유로 불참한 사람을 제외하고 총 10명을 대상으로 개별 심층인터뷰를 실시해 분석했다. 보고서에는 강제동원 당시의 비참한 현실뿐 아니라 귀향 후 현재까지의 삶도 함께 취재했기 때문에 고난의 현대사가 담겨 있다.

이날 김 의원은 “증언에 따르면 이들은 10~15세의 어린 나이에 동원됐다. 공부를 시켜주겠다고 속임수를 쓰거나, 일정한 할당량을 정해놓고 면서기와 순사가 함께 나와 강제로 끌고 가는 방식이었다”며 “이것이 강제적인 방법이 아니었다는 일본 정부나 토착 친일파들의 주장은 손바닥으로 하늘을 가리는 수작에 불과하다”고 설명했다.

이밖에 보고서에는 전쟁터로 끌려간 남성노동자를 대체해 강제동원돼 고된 노동을 하고, 사고당해도 치료도 받지 못하는 등 강제동원 피해 여성근로자의 다양한 피해 내용이 담겼다.

김 의원은 “정부는 2015년 중단된 피해자 신고를 즉시 재개해 기한에 구애받지 않고 신고를 접수해야 할 것”이라며 “전국적으로 생존 피해자에 대한 심층적인 전수조사를 실시해 이들의 상태를 파악하고 지원책을 촉구해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아울러 김 의원은 2014년 제정된 ‘경기도 대일항쟁기 강제동원 피해여성근로자 지원 조례’가 있지만 만족스럽지 못한 지원규모를 지적, 조례 개정을 검토 중이라고 밝혔다.

 

최현호기자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