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재인 대통령은 15일 “저는 오늘 어떤 위기에도 의연하게 대처해온 국민들을 떠올리며 우리가 만들고 싶은 나라, ‘아무도 흔들 수 없는 나라’를 다시 다짐한다”고 밝혔다.
문 대통령은 이날 오전 충남 천안 독립기념관에서 열린 제74주년 광복절 경축식에서 경축사를 통해 “아직도 우리가 충분히 강하지 않고 아직도 우리가 분단돼 있어 ‘아무도 흔들 수 없는 나라’를 아직 이루지 못했다”며 이같이 말했다.
문 대통령은 최근 한일 경제전쟁과 관련, “일본의 부당한 수출규제에 맞서 우리는 책임 있는 경제강국을 향한 길을 뚜벅뚜벅 걸어갈 것”이라며 ‘극일(克日)’ 의지를 분명히 했다. 그러면서도 “지금이라도 일본이 대화·협력의 길로 나오면 기꺼이 손을 잡을 것”이라며 “공정하게 교역하고 협력하는 동아시아를 함께 만들어갈 것”이라고 강조했다. 일본의 조치에 단호하게 대응하되, 이와 별개로 미래지향적 한일 관계를 지향한다는 문재인 정부의 ‘투트랙 기조’에 맞춰 사태 해결을 위한 외교적 대화의 문은 열어두겠다는 뜻으로 해석된다.
문 대통령은 “우리는 과거에 머물지 않고 일본과 안보·경제협력을 지속해 왔다”며 “일본이 이웃 나라에 불행을 줬던 과거를 성찰하는 가운데 동아시아의 평화·번영을 함께 이끌어가길 우리는 바란다”고 거듭 강조했다. 문 대통령은 지난해 평창동계올림픽, 내년 도쿄올림픽, 2022년 베이징동계올림픽을 언급한 뒤 “동아시아가 우호·협력의 기틀을 굳게 다지고 공동 번영의 길로 나아갈 절호의 기회”라고 제시했다.
특히 문 대통령은 ‘아무도 흔들 수 없는 나라’ 건설을 위해 ▲경제강국 ▲교량국가 ▲평화경제 구축을 세 가지 목표로 제시했다. 문 대통령은 한반도 비핵화 실현과 남북 분단 극복을 통해 평화경제를 이룩, 강국으로 거듭나겠다는 뜻을 천명했다.
한반도 상황에 대해서는 “최근 북한의 몇 차례 우려스러운 행동에도 대화 분위기가 흔들리지 않는 것이야말로 정부가 추진해온 한반도 평화프로세스의 큰 성과”라며 “북한의 도발 한 번에 한반도가 요동치던 그 이전의 상황과 분명히 달라졌다”고 언급했다.
문 대통령은 “지난 6월 말의 판문점 회동 이후 3차 북미정상회담을 위한 북미 간 실무협상이 모색되고 있다”며 “아마도 한반도의 비핵화와 평화 구축을 위한 전체과정에서 가장 중대한 고비가 될 것”이라고 밝혔다. 또 “이 고비를 넘어서면 한반도 비핵화가 성큼 다가올 것이며 남북관계도 큰 진전을 이룰 것”이라며 “경제협력이 속도를 내고 평화경제가 시작되면 언젠가 자연스럽게 통일이 우리 앞의 현실이 될 것”이라고 역설했다.
문 대통령은 “광복절을 맞아 임기 내에 비핵화와 평화체제를 확고히 하겠다고 다짐한다”며 “그 토대 위에 평화경제를 시작하고 통일을 향해 가겠다”고 했다. 그러면서 “2032년 서울·평양 공동올림픽을 성공적으로 개최하고 늦어도 2045년 광복 100주년에는 평화와 통일로 하나 된 나라(One Korea)로 세계 속에 우뚝 서도록 기반을 단단히 다지겠다”고 힘줘 말했다.
강해인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