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재인 대통령은 18일 김대중 전 대통령 서거 10주기를 맞아 “오늘 저는 김대중 대통령님을 추모하며 ‘역사를 두렵게 여기는 진정한 용기’를 되새긴다”고 밝혔다.
문 대통령은 이날 SNS에 올린 추모글에서 “김 대통령님은 한국과 일본이 걸어갈 우호·협력의 길에도 새로운 이정표를 세웠다”며 이 같이 강조했다.
특히 문 대통령은 “(김 전 대통령이) 1998년 오부치 총리와 함께 발표한 ‘21세기의 새로운 한일 파트너십 공동선언’은 과거사에 대한 일본의 ‘통절한 반성과 마음으로부터의 사죄’를 명문화했고 양국 국민이 역사의 교훈을 공유하며 평화와 번영의 미래를 함께 열어가자는 약속이었다”고 언급했다.
문 대통령이 강조한 ‘역사를 두렵게 여기는 진정한 용기’는 지난 1998년 일본을 국빈 방문한 김 전 대통령이 일본 참의원 본회의장에서 연설할 때 힘줘 말한 대목이다. 김 전 대통령은 당시 “일본은 과거를 직시하고 역사를 두렵게 여기는 진정한 용기가 필요하고 한국은 일본의 변화된 모습을 올바르게 평가해야 한다”고 말했다. 이에 따라 문 대통령이 최근 경제보복에 나선 일본을 향해 ‘역사를 직시해야 한다’는 메시지를 던진 것이라는 해석이 나온다.
문 대통령은 또한 “김 전 대통령이 지난 1990년 목숨을 건 단식으로 열어낸 지방자치는 국가균형발전의 초석이 됐다”면서 “‘복지는 인권’이라는 신념으로 이뤄낸 국민기초생활보장법과 건강보험 통합은 ‘전국민 전생애 건강보장’으로 이어졌다”고 말했다. 또 “1998년 세계 최초 초고속 인터넷 상용화로 시작한 IT강국 대한민국은 또 한 번 세계 최초 5G 상용화에 성공하며 4차산업혁명 시대를 선도하고 있다”고 말했다.
아울러 “지난 2000년 남북정상회담과 6·15 공동선언은 오직 국가의 미래를 생각했기에 가능한 일이었다”고 평가한 뒤 “그때 한반도 평화의 새로운 지평을 열어놓았기에 우리는 평창동계올림픽을 성공적인 평화올림픽으로 치러낼 수 있었고 한반도 비핵화와 평화경제라는 담대한 상상력을 발휘하며 함께 잘사는 길에 용기 있게 나설 수 있었다”고 했다.
이어 “국민이 잘사는 길, 항구적 평화를 이루는 길, 한일 간 협력의 길 모두 전진시켜야 할 역사의 길”이라며 김 전 대통령이 지난 1982년 옥중에서 가족에게 보낸 서신의 한 구절을 인용해 “‘전진해야 할 때 주저하지 않고 인내할 때 초조해하지 말며 후퇴할 때 낙심하지’ 않겠다”고 다짐했다.
문 대통령은 “국민들의 마음속에 대통령님은 영원히 인동초이며 행동하는 양심”이라며 “국민의 손을 잡고 반 발씩, 끝내 민주주의와 평화를 전진시킨 김 대통령님이 계셨기에 오늘 우리는 더 많은 희망을 가질 수 있게 됐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이희호 여사님의 손을 꼭 잡고 여전히 대한민국을 걱정하실 것이라고 생각한다”며 “국민들과 함께 평화와 번영의 한반도를 꼭 보여드리겠다”고 밝혔다.
강해인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