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재인 대통령은 20일 “탄소섬유 등 소재 산업의 핵심 전략품목에 과감한 지원을 하겠다”며 “특정국가 의존형 산업구조를 개선해야 한다”고 밝혔다.
문 대통령은 이날 전주 효성첨단소재 공장에서 진행된 ‘탄소섬유 신규 투자 협약식’에 참석해 “탄소섬유 등 100대 핵심 전략품목을 선정하여 향후 7년간 7~8조 원 이상의 대규모 예산을 투자할 것”이라며 이같이 말했다.
그러면서 “자립화가 시급한 핵심 R&D(연구개발)에 대해서는 ‘예타 면제’도 추진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문 대통령이 탄소섬유 공장을 찾은 것은 미래 산업의 핵심소재인 탄소섬유를 국가 전략산업으로 집중 육성하겠다는 의지를 표방하기 위한 것으로 분석된다. 탄소섬유는 철보다 4배 가볍고 강도는 10배 강해 ‘꿈의 첨단소재’로 불리지만, 일본 의존도가 높기 때문이며 문재인 정부 핵심 주력 산업인 수소경제의 핵심소재이기도 하다.
문 대통령은 “우리 경제의 지속적인 성장을 위해서는 새로운 성장동력 산업이 필요하다”며 “수소경제와 탄소섬유 산업이 그 해답 중 하나”라고 말했다.
이어 “지금 수소차는 앞서가기 위한 경쟁이 치열한데 그 핵심소재가 바로 탄소섬유”라며 “미래 자동차로서 수소차의 수요가 늘면서 탄소섬유의 수요도 크게 늘어날 것”이라고 강조했다.
문 대통령은 “탄소섬유는 그 자체로 고성장 산업이며 연계된 수요산업의 경쟁력도 크게 높일 수 있다”며 “철을 대체하는 미래 제조업의 핵심소재 산업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신속한 기술개발이 가능한 소재·부품 분야는 재정·세제·금융·규제완화 등 전방위적인 지원으로 빠르게 육성하고 해외 기술도입이 필요한 분야는 M&A(인수합병)를 통해 핵심기술을 확보하는 노력도 병행할 것”이라며 “특히 방산, 로봇, 우주산업과 같은 고부가가치 산업에 사용될 초고강도, 초고탄성 탄소섬유 개발도 적극 지원하겠다”고 약속했다.
문 대통령은 “수요기업과 공급기업 간 협력모델을 구축하여 국내 탄소섬유 산업의 생태계를 개선해 가겠다”며 “자동차·항공 등 수요기업과 탄소섬유 공급기업이 공동개발 등의 상생협력 모델을 만들면, 정부가 금융·세제 등의 뒷받침으로 경쟁력을 높일 수 있는 생태계를 구축할 것”이라고 말했다.
강해인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