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업성 불투명 발뺀 ‘LH’ 해수부 vs IPA ‘2라운드’
사업 적자 폭 인천시와 이견 결국 LH 참여 백지화 가닥
IPA, 사업 시행 ‘총대’ 부담 해수부, IPA 시행자 나서야
1·8부두 항만재개발 사업이 첫 삽도 뜨지 못한 채 헛돌고 있는 이유는 사업에 참여하는 4개 기관 간 입장차이가 여러 방면에서 충돌하기 때문이다. 의견 충돌은 각 기관의 존재 목적과도 이어져 차짓 사업 장기화가 우려된다.
20일 인천시에 따르면 1·8부두 사업 관계 기관은 해양수산부, 인천시, LH(한국토지주택공사), 인천항만공사(IPA) 등 4개다.
이 중 LH는 1·8부두 재개발 사업시행자로 참여하지 않는 쪽으로 정리가 이뤄지고 있다. LH가 사업에서 발을 빼기로 한 것에는 사업 적자 폭을 두고 시와 합의에 이르지 못했기 때문이라는 분석이다. LH는 1천억원대의 사업 적자를 이유로 공공용지 비율을 줄여줄 것을 시에 요구했다. 아파트 등 공동주택을 지어 사업 수익성을 높이기 위해서다. 그러나 시는 항만재개발 사업의 취지와 어긋난다며 이 같은 요구를 받아들이지 않았다.
이와 함께 LH는 공동주택 건설 등 도시개발을 목적으로 하기에 공동주택 건설 부지가 1곳(제2국제여객터미널 인근)밖에 없는 1·8부두 사업에 참여하는 것을 꺼렸다는 해석도 있다. 이 밖에도 3기 신도시 개발 등으로 LH 사업이 많아진 것도 1·8부두 사업 철회 원인으로 지목된다.
시와 LH 간 갈등이 지금까지의 1·8부두 사업 장기화를 가져온 원인이라면, 시·해수부와 IPA 간 갈등은 앞으로의 사업 장기화를 가져올 수 있는 요인이다.
IPA는 사업 시행자로서 나서는 것에 부담을 느끼는 것으로 알려졌다. IPA의 목적이 항만 운영에 있는데 하역기능 자체를 없애는 항만재개발 사업 시행자로 나서면 항운 노조 측의 반발이 가능하기 때문이다. 당초 8월로 예정한 사업 제안서 발표가 9월로 밀린 것도 이 같은 IPA의 입장 때문으로 전해졌다.
반면 해수부는 부산항만공사(BPA)가 사업 시행을 담당한 부산항 재개발처럼 IPA가 사업 시행자로 나설 것을 주문하고 있다.
한 사업기관 관계자는 “이 사업을 두고 기관 간 이해관계가 복잡해 지난 6월 용역보고서 최종본이 나왔음에도 사업 제안서 작성이 길어지고 있다”고 했다.
이승욱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