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 192학점 이수… 2025년 일반 고교까지 전면 시행
오는 2025년 전면시행을 앞둔 ‘고교학점제’가 내년에 전국 51개 마이스터고부터 우선적으로 도입된다.
교육부는 21일 마이스터고 고교학점제 도입 관련 정책설명회를 열고 향후 운영계획 등을 공개했다. 교육부는 내년 마이스터고에 이어 2022년 특성화고와 일부 일반고에 고교학점제를 도입한 후 2025년 모든 고교에 이 제도를 도입한다는 계획이다.
‘고교학점제’는 문재인 정부의 교육공약 가운데 하나로, 대학에서 수업을 골라 학점을 이수하는 것처럼 고교생이 진로·적성에 따라 직접 과목을 골라 듣고 학년 구분 없이 수업을 들을 수 있도록 한 제도다.
고교학점제에서는 현행 ‘단위’로 돼 있는 수업량 명칭을 ‘학점’으로 변경한다. 현재 1단위는 연간 17회 분량의 수업량을 뜻한다. 고교학점제에서는 1학점의 수업량이 16회로 줄고, 총 이수학점은 192학점(기존 204단위)으로 바뀐다. 수업이 주는 대신 ‘학교 밖 경험’이 활성화된다. 산업체·대학 등에서 체험·실습하면 이를 학점으로 인정해준다. 정규교과와 창의적 체험활동 비율은 각 학교가 자율적으로 정한다. 대학생처럼 다른 학과 수업을 수강하고 ‘부전공’ 할 수 있는 길도 열린다. 전공 외 학과 수업을 24학점 이상 들으면 부전공으로 인정받을 수 있다.
학점제 안착을 위한 최소한의 공통 지침과 세부안도 만든다. 학점 인정 주체, 학점 인정 방법, 평가 및 기록 방식, 교과목 편제 공통항목을 개설하기로 했다. 또학점제 과정에서 탈락하는 학생이 없도록 ‘이수제·미이수제’ 적용에 대비, 책임교육을 강화한다는 방침이다.
박백범 교육부 차관은 “2010년 개교한 마이스터고는 중등직업교육의 선도모델로서 자리매김해왔으며 고교학점제 도입으로 다시 한 번 도약하는 계기를 맞이했다”며 “마이스터고 학점제가 학생 개인 맞춤형 고졸 취업 활성화를 정착시키고 다양한 학생성장 경로 구현에 기여하도록 지원하겠다”고 강조했다.
한편 교육부는 현재 학점제 연구·선도학교를 운영하면서 정책연구를 진행 중이고, 내년에 종합계획을 발표할 예정이다. 강현숙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