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출규제·강제징용 등 평행선
한일 외교장관이 21일 중국 베이징에서 만나 일본의 대(對)한국 수출규제로 촉발된 한일 갈등의 해소 방안을 논의했으나 입장 차만 재확인한 채 돌아섰다.
강경화 외교부 장관과 고노 다로 일본 외무상은 이날 오후 2시(현지시간) 한·중·일 외교장관 회의가 열린 구베이수이전에서 약 35분간 양자회담을 가졌다.
한일 외교장관의 양자 회동은 지난 1일 태국 방콕에서 아세안(ASEAN·동남아시아국가연합) 관련 회의에서 만난 뒤 20여 일 만이다. 이번 회담은 한일군사정보보호협정(GSOMIA·지소미아) 연장 시한(24일)과 일본정부의 ‘한국 화이트리스트(수출심사 우대국 명단) 배제조치’ 시행일(28일)을 앞두고 열린 데다, 중국이 중재자 역할을 할 수 있을 것이라는 분석까지 나와 주목받았다.
하지만, 한일 양국은 이날 회담에서 입장차만 재확인 한 채 마쳤다. 강 장관은 이 자리에서 일본 정부가 지난 2일 각의를 통해 우리나라를 화이트리스트 제외 결정을 강행한 데 대해 재차 깊은 유감을 표명하고, 상황의 엄중함을 지적했다. 일본 정부가 지금이라도 해당 조치를 철회할 것을 강력히 촉구했다.
이에 고노 외무상은 자국의 기존 입장을 되풀이해 설명했다.
강 장관은 수출규제 문제 해결을 위해 양국 수출 규제 당국 간의 대화가 조속히 성사될 필요성을 강조하고, 일본 외교 당국이 가능한 노력을 기울여 줄 것을 요구했다.
고노 외무상이 강제징용 문제와 관련한 일측 입장을 언급한 데 대해 강 장관은 우리 입장을 재차 확인했다.
고노 외무상은 재한 일본인들의 안전에 대한 우리 정부의 관심을 희망했고, 강 장관은 일본 내 혐한 분위기 하에서 재일 우리 국민과 동포의 안전 확보와 피해 방지를 위한 일본 정부의 관심을 당부했다.
강 장관은 아울러 후쿠시마 원전 오염수 처리 문제에 대한 우리 정부의 엄중한 인식을 전달하고, 일본 정부의 현명한 결정을 촉구했다.
외교부 당국자는 “이 자리에서 고노 외무상이 지소미아(군사정보보호협정) 연장에 대해 언급했다”며 “우리는 이를 검토하고 있는 원론적인 입장을 표명했다”고 말했다.
이 당국자는 “외교 당국 간 대화 복원시켰다는 자체가 의미가 있다고 판단한다”며 “수출규제 당국에서도 대화 복원하는 게 키포인트”라고 덧붙였다.
강 장관은 이날 양자회담 결과와 관련해 “드릴 말씀이 없다”고 말한 뒤 굳은 표정으로 자리를 떠났다. 강해인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