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국주의 속 미성년자 피해자를 조명하다…‘아시아태평양전쟁에 동원된 조선의 아이들’

“징용, 징병 등 강제동원 피해는 어른들만의 고통이 아니었다.”

신간 도서 <아시아태평양전쟁에 동원된 조선의 아이들>(섬앤섬 刊)의 저자 정혜경 일제강제동원&평화연구회 연구위원은 제2차 세계대전 당시 민간인 피해자를 조명하며 그 중에서도 미성년자들이 어떻게 스러져갔는지 설명했다. 저자가 여러 기관들과의 공조를 통해 강제동원피해자로 판정한 21만 8천639건 가운데 최저연령 사망자는 9살 소녀였다. 이어 10살에 노무자가 돼 11살에 죽은 소녀 등 사망원인도 불분명하고 가족들도 기억하지 못하는 어린 아동의 강제동원도 많았다는 게 그의 의견이다.

아울러 지난 1941년 근로보국대 동원 연령은 남녀 14세 이상이었지만 해당 연령대 이하 연령 아동의 강제동원, 사망 사례가 많았다는 점도 지적했다. 당시 일본이 국제노동기구(ILO) 가입국이었다는 점을 생각하면 의아한 점이나 저자는 일본이 1911년 공장법을 제정해 1916년에 시행했지만 조선에는 적용하지 않았다는 점을 확인했다.

징용을 거부한 미성년자들의 이야기에도 이목이 쏠린다. 소년형무소에 수감된 이들의 사연은 물론 형무소 안 노역의 일환으로 방공호와 비료공장을 만드는데 착출된 이야기는 당시 시대가 우리나라 사람, 특히 미성년자에게 가혹했음을 적나라하게 드러낸다.

무엇보다도 가슴 아픈 건 살아남은 이들의 이야기다. 수족이 절단 된 할아버지, 눈이 먼 할머니, 어린 나이에 비행기 공장에 끌려가 일했는데 일본군 성폭행 피해자로 오해받아 집에서 쫓겨난 할머니 등의 사연도 독자들의 눈가를 적신다. 군 부대 인근 공장에서 일하다 폭탄 파편에 눈을 맞았지만 군인이 아니라는 이유로 치료를 받지 못해 눈이 먼 이야기는 물론 사탕수수 농장이 펼쳐진 낙원이라는 거짓 선동과 징용에 태평양 남양군도로 끌려가 전쟁 중 장애를 얻은 이야기는 더 이상 남의 이야기가 아니다.

광복 74주년인 올해 제국주의 안에서 겨우 살아남은 미성년자 피해자들도 이제는 몇 남지 않았다. 과거를 지나 현대를 살아가고 있는 우리에게 주어진 의무는 과거를 잊지 않고 미래에 같은 실수를 반복하지 않는 것이다. 값 2만 원

권오탁기자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