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라·남이섬 관광특구 연내 지정 무산 위기

강원 “강촌유원지까지 확대”
경기도 난처… 엇갈린 협치

자라섬 남이섬 관광특구 관련 지도. 경기도 제공

민선 7기 경기도가 ‘살고 싶은 경기북부 만들기’의 일환으로 ‘자라섬ㆍ남이섬 관광특구’를 강원도와 함께 추진한다고 밝힌(본보 3월 21일자 1면) 가운데 관광특구 연내 지정이 무산 위기에 놓인 것으로 확인됐다. 강원도가 현 계획안대로 관광특구를 지정시 ‘경기도에만 이득인 협약’이라며 제동을 걸었기 때문이다.

28일 경기도와 강원도 등에 따르면 강원도와 춘천시는 최근 경기도가 내세운 공동 관광특구 예정 지역(가평 자라섬~춘천 남이섬)을 춘천 강촌유원지까지 확대 추진하자고 경기도와 가평군에 제안했다. 강원도 측은 현 계획안대로라면 남이섬 선착장ㆍ짚와이어 등 섬으로 들어갈 수 있는 요건이 모두 가평군 소재이고, 남이섬과 자라섬 간 직선거리도 1㎞에 불과해 경제효과가 경기도(가평군)에 집중, 사실상 강원도(춘천시)에는 실질적인 이익이 없다고 주장했다.

앞서 도는 까다로운 관광특구 지정요건(최근 1년간 외국인 관광객 수 10만 명 이상, 관광활동과 관련 없는 토지 비율 10% 이하 등)으로 자라섬의 단독 특구 지정이 불가능해 강원도에 손을 내밀었다. 특히 지난해 12월 자유한국당 김영우 의원(포천ㆍ가평) 등이 발의한 관광진흥법 개정안이 국회를 통과, 타 지자체 간 공동 관광특구 지정에 대한 근거 규정까지 마련됐다.

그러나 경기도는 강원도의 요구에 난처함을 감추지 못하고 있다. 경기도가 이를 수용시 가평군 일대 지역경제 활성화라는 본 취지가 무색해지고, 관광특구 지정요건 역시 복잡해져서다.

이와 관련, 이재명 경기도지사는 최문순 강원도지사를 직접 만나 여러 대안을 제시했으나 받아들여지지 않은 것으로 알려졌다. 이 지사는 최근 경기도의회 도정 질의에서 “여러 가지 안을 제안했지만 협의가 잘 안 됐다”며 “강원도 쪽을 빼고 가평지역만 특구로 지정하는 방식도 고려하는 등 공약 사업인 자라섬 관광특구를 반드시 실현하겠다”고 말했다.

이에 경기도는 강원도와의 공동 관광특구 지정이 무산되는 최악의 경우를 대비해 춘천 남이섬을 제외한 자라섬~남이섬 선착장(가평 소재)까지를 경기도만의 ‘관광특구’로 추진하는 계획도 세웠다. 남이섬 선착장만 포함해도 외국인 관광객 수 연 10만 명 이상이라는 특구 지정 요건에 들어맞을 수 있기 때문이다. 다만 선착장 관광객을 지정 요건으로 적용할 수 있는지는 정부와의 협의가 필요하다. 경기도는 단독 관광특구 진행시 내년 7월 예정된 관광진흥계획에 자라섬 관광특구를 포함할 예정이다.

강원도 관계자는 “공동 관광특구 추진 의지가 없는 것은 아니지만 우리는 춘천시를 비롯한 강원도 이익 위주로 생각할 수밖에 없다”고 밝혔다.

여승구ㆍ김해령기자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