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원남부署·부천원미署 운영
위치 찾기 어렵고 만족도 낮아
이용 현황 1일 평균 2건도 안돼
경찰 관계자 “서비스 강화 노력”
인권 침해 예방을 위해 야심차게 문을 연 경찰 현장인권상담센터가 시민들로부터 외면받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28일 경기남부경찰서 등에 따르면 그동안 서울 일부 경찰서에서 시범 운영되던 현장인권상담센터(이하 센터)는 올해 3월부터 전국 10개 경찰서에서 확대 운영 중이다. 경기도의 경우 수원남부경찰서와 부천원미경찰서가 포함됐다.
이 같은 확대 운영 조치는 국민들의 인권 보호를 강화하기 위해 마련됐으며, 해당 센터에는 국가인권위원회가 위촉한 변호사 등 자격을 갖춘 ‘전문상담위원’들이 배치돼 민원인에 대한 상담과 이들의 권리구제를 위해 활동한다.
그러나 정작 경찰서를 찾는 시민들에게 해당 센터가 현장에선 별 도움이 되지 않는다는 볼멘소리가 이어지고 있다.
지난 27일 오후 찾은 남부경찰서 주차장 가장자리에 위치한 현장인권상담센터.
해당 센터에는 변호사17명, 국가인권위원회전조사관 2명 등 총 21명의 전문 상담사가 배치, 인권침해 민원을 신속하게 상담하고 권리구제 활동을 펼쳤다.
그러나 정작 센터의 위치를 찾기도 어렵기만 했다. 센터 입구 앞까지 2ㆍ3중으로 주차된 차들로 인해 센터의 간판도 제대로 보이지 않은 탓이다.
잠시 후 상담을 마치고 나온 시민 A씨(40대 초반)는 고개를 갸우뚱 거리며 불만족스러운 표정으로 발걸음을 재촉하고 있었다. ‘서비스의 만족도’에 대한 질문에 A씨는 “경찰 직원이 설명해준 내용과 별반 다를 게 없다”며 “추가적인 상담이 필요해 센터를 방문했는데 헛걸음만 한 셈”이라고 불만을 표출했다.
지난달 서비스를 제공받았다는 B씨(43) 역시 “서비스 내용을 차지하고라도 직원들에게 센터 위치를 물어도 모르는 경우도 있었다”며 “직원들도 모르는 상황에서 일반 시민들이 이 같은 센터 존재 자체를 알 수가 있는지 의문”이라고 말했다.
실제 지난 3월 개소 이후 수원남부경찰서 내 센터의 이용 현황은 총 182건으로 1일 평균 1.6건에 그쳤다. 부천 원미경찰서의 경우 94건으로 1일 평균 1건이 채 되지 않고 있다.
이에 대해 경찰 관계자는 “시민들의 인권 보호를 위해 개소한 센터가 아직 초기 단계라 많은 이용객들이 몰리고 있지는 않다”며 “앞으로 홍보 강화와 함께 더 나은 서비스 제공을 위해 노력하겠다”고 밝혔다.
원광재수습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